![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1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1800조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사진=셔터스톡]](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10834/art_1629795193392_3a3311.jpg)
▲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1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1800조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사진=셔터스톡]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영끌‧빚투로 인한 가계 부채 증가세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빚이 2003년 관련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증가폭을 나타내며 사상 최대치 기록을 또다시 갈아치웠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1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1800조원을 돌파했다.
전분기 말보다 41조2000억원(2.3%) 증가한 1805조9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는 무려 168조6000억원(10.3%) 늘어난 수준이다.
가계신용이란 은행, 보험, 카드, 저축은행, 대부업 등 전체 금융권이 가계에 빌려준 금액인 가계대출과 결제 전 신용카드 사용액인 판매신용 등을 더한 액수다. 가계가 향후 갚아내야 하는 총 빚을 뜻하는 개념이다.
◇ 집값‧주식‧암호화폐 폭등 기대감에 너도나도 ‘빚투’
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가계대출이다. 전분기 말 대비 38조6000억원(2.3%), 전년 동기 대비 159조2000억원(10.3%) 늘어난 1705조3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다시, 가계대출을 상품별로 나눠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컸다. 전분기 대비 17조3000억원(1.9%) 늘어난 948조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75조2000억원(8.6%) 증가한 수준이다.
이외 마이너스통장,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의 경우 전분기 대비 21조3000억원(2.9%) 늘어난 75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84조원(12.5%) 증가해 2003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해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과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모두 증가했다.
올 2분기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분기 대비 12조4000억(1.4%) 증가한 880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분기 보다 9조1000억원(2.8%) 증가한 338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보험사, 카드사,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 등의 가계대출 또한 전분기말대비 17조1000억원(3.6%) 늘어난 485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이 가계빚이 잇따라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는 데에는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집값, 암호화폐, 주식 등 자산가격의 상승 기대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매매, 자산투자 등을 위해 무분별한 ‘빚투’가 여전하다는 뜻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주택 매매 등 자금 수요가 계속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지속 증가했다. 4월 말 있던 공모주 청약과 코로나19로 인한 생활자금 수요가 2분기에도 이어지면서 기타대출 또한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