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퓨리케어 AI+ 공기청정기' 출시…AI 스스로 공기질 관리

2025.01.21 10:35:29

딥러닝으로 학습한 AI 공기질 센서 포름알데히드·암모니아·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유해가스 감지

LG전자가 AI로 오염원을 감지하는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를 21일 출시했다. [사진출처=LG전자]

▲ LG전자가 AI로 오염원을 감지하는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를 21일 출시했다. [사진출처=LG전자]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LG전자는 인공지능(AI)으로 오염원을 감지하는 ‘AI 공기질 센서’를 최초 탑재한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를 21일 출시한다고 이날 밝혔다.

 

LG전자측은 “실내 공기질에 민감한 고객들을 위해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반려동물 배변 냄새의 원인인 암모니아를 비롯해 요리할 때 발생하는 유증기 등의 오염원을 감지하는 AI 공기질 센서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는 기존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초미세먼지, 유해가스인 휘발성유기화합물(TVOCs) 등을 감지하는 센서와 함께 총 9종의 오염원을 감지한다”며 “한국표준협회 테스트 결과 딥러닝으로 학습한 이번 신제품의 AI 공기질 센서는 3종(포름알데히드·암모니아·휘발성유기화합물)의 유해가스와 유증기를 감지해 가스 종류와 오염도에 따라 알아서 공기청정하는 기능을 검증 받았다”고 덧붙였다.

 

LG전자에 따르면 ‘AI 맞춤 운전 기능’은 매 시간 실내 공기질을 학습·분석한다.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질이 깨끗한 시간을 파악해 공기청정기 팬 작동을 멈추고 디스플레이 밝기를 낮춰 에너지를 절약한다.

 


또 제품 스스로 공기질을 분석·동작 세기를 조절해 기존 AI 모드 대비 소비전력을 최대 50% 이상 줄일 수 있어 전기료 절감에 도움이 된다.

 

LG전자는 이번 신제품에 탑재된 AI 공기질 센서와 AI 맞춤 운전 성능을 검증 받아 ‘AI+(에이아이플러스) 인증’을 획득했다. 국내에서 공기질 센서로 AI+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에는 차세대 필터인 ‘퓨리탈취청정 M필터’를 적용해 기존 퓨리탈취청정 G필터 대비 탈취 성능이 40% 이상 향상됐다. 마이크로 기공이 형성돼있어 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신소재인 MOF(Metal Organic Framework, 금속유기구조체)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라는게 LG전자측 설명이다.

 

또한 해당 제품은 AI 공기질 센서가 분석한 공기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냄새를 제거하는 ‘펫 특화필터’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새집 특화필터’ ▲요리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제거하는 ‘유증기 특화필터’ 등 실내 오염원에 맞춰 효과적으로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LG 씽큐(ThinQ) 앱을 통해 특화필터를 추천해준다.

 

이외에도 신제품 하단 중앙부에는 UVC LED 램프를 탑재해 토출하는 공기를 UVC(자외선)로 살균하는 등 위생을 대폭 강화했다. UV살균 기능은 필터를 거친 공기 속 부유 세균과 부유 바이러스를 각각 99.9%, 99.8% 제거한다.

 

LG전자에 의하면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 샌드 베이지, 네이처 그린 등 두 가지 오브제컬렉션 컬러로 출시하며 가격은 출하가 기준 209만원이다.

 

홍순열 LG전자 ES사업본부 에어케어사업담당은 “공감지능을 강화한 혁신적인 공기질 관리 솔루션으로 실내 공기청정과 위생 등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필주 기자 sierr3@tfnews.co.kr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조세금융신문 사업자 등록번호 : 107-88-12727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신사동 171-57) 제이제이한성B/D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713 등록일자 : 2011. 07. 25 제호 : 조세금융신문 발행인:김종상 편집인:양학섭 발행일자 : 2014. 04. 20 TEL : 02-783-3636 FAX : 02-3775-4461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