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417/art_17454632986221_01605f.jpg)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연합뉴스]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상당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의혹에 대한 구체적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24일 이 원장은 금감원 여의도 본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을 열고 “방대한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해 검찰에 이첩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금감원은 홈플러스 사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사전 인지 여부와 관련해 MBK 대상 검사를 진행해 왔다.
금감원은 김병주 MBK 회장이 홈플러스 경영에 실패하고도 납품 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 희생을 강요하면서 자기 책임은 회피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이 원장은 “회사가 위기에 빠졌을 때 경영 정상화를 위한 책임을 다르게 취급한다는 것은 오히려 특혜를 주는 것으로 생각한다. MBK와 홈플러스 측이 회생 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을 보면 채무자 및 대주주와 채권단 간의 주객이 전도됐다는 점을 지울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시간을 끌며 회생 계획을 강요하는 식의 접근방법보다 이해관계자들의 진신 어린 이해와 양보를 구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며 “MBK 측에선 당국 쪽에다 다수 거래처들이 유지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협조를 구해달라는 식의 요청까지 하는 상황인데, 당국은 회생절차에 있어선 이런 협조와 관련된 형태의 요청을 하는 것들에 대선 조금 매우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 원장은 김 회장이 700억원대 사재를 출연했다는 내용의 언론 보도에 대해선 “이번 사건을 개인의 희생과 관련한 것으로 프레임화 하려는 경향이 있다”며 “특정 개인의 몇백억원 출자를 얘기하는 것은 사건의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