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상황이 계속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10312/art_16164034853278_6e3e09.jpg)
▲ 코로나 상황이 계속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국민 대부분은 올해도 고용 상황이 나빠지고 월급도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전망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3%는 올해 고용상황이 코로나19 이전(2019년)과 비교해 악화될 것이라 응답했다.
특히 20대 응답자의 경우 올해 고용상황이 ‘매우 악화 될 것’이란 전망이 과반(53.2%)이었고 ‘매우 개선될 것’이란 응답은 제로(0%)로 나타나, 청년층이 가장 암울하게 내다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 일자리 전망 최고는 반도체, 최악은 숙박·음식점
향후 가장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반도체(21.4%)였다. 바이오 등 신사업(20.6%)이 바로 뒤를 이어 신사업이 가져다 줄 고용 효과에 대한 기대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숙박·음식점업(22.5%)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계·선박·철강(17.4%), 건설(14.5%)이 그 뒤를 이었다.
조만간 일반 국민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두고 있지만 대면서비스업에 대한 고용 악화 우려는 여전히 큰 것으로 보인다.

◈ 코로나19가 쏘아올린 고용 악화, 해결책은 기업규제 완화
고용상황이 악화될 주된 원인은 코로나19 지속(45.3%)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정부의 친노조정책(10.7%), 기업경영실적 부진(10.5%), 신성장동력산업 부재(7.2%) 순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고용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한 과제로는 기업규제완화(24.9%)를 첫 번째로 지목했으며, 근로형태 다양화 등 고용시장 유연화(21.9%)가 두 번째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연령별로 20대의 경우 기업규제완화(25.0%)와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1.2%)를 꼽아 10명 중 약 5명은 기업 활성화 정책을 지지했으며, 40대는 다른 연령에 비해 신산업육성지원(21.8%)을 중요한 과제로 꼽은 것이 특징이다. 60대는 기업규제완화(27.3%)에 이어 공공일자리확대(19.5%)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월급은 제자리 걸음, 재테크는 부동산
고용전망만큼 월급에 대한 전망도 암울했다. 10명 중 약 7명(68.9%)은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 응답했다. 향후 소득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한 질문에는 ▲주식, 부동산 등 재테크(32.9%) ▲업무역량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순으로 응답하였고, ▲기타 응답이 35.3%였다.
부동산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되었지만 여전히 가장 유망한 재테크 수단으로는 부동산(30.1%)이 꼽혔으며, 주식(28.4%), 기타(16.6%), 금·구리 등 실물자산(8.3%), 예·적금(6.8%), 암호화폐(6.1%), 외화(3.7%)가 뒤를 이었다.
구체적으로 성별·연령을 불문하고 부동산과 주식을 가장 유망한 재테크 수단으로 지목하였다. 남성은 부동산(30.9%)을 여성은 주식(32.3%)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33.4%)·50대(30.4%)·60대(31.1%)는 부동산, 20대(40.0%)·40대(28.9%)는 주식을 가장 좋은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다. 또한 20대에서 주식과 부동산에 이어 최근 투자열풍이 불고 있는 암호화폐(9.5%)를 지목한 것도 특징이다.
추광호 한경련 경제정책실장은“코로나19 완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고용상황을 여전히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경제의 성장활력이 많이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국민들의 기대를 반영하여 일자리 창출을 막고 있는 규제를 완화하고 기득권의 진입장벽을 낮춘 고용시장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 주장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