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오는 2025년 만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1051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5을 차지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을 예측했다.
노화가 진행되어 치아를 상실하는 사람들은 제 2의 치아로 불리는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건강보험 적용 확대로 치료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임플란트를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젊은 환자들에 비해 회복도가 느리고 염증으로 인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임플란트 수술을 두고 고민에 빠질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같은 전신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면, 임플란트 치료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기존에 복용하는 약물로 인해서 임플란트 수술 시 급성 저혈당 쇼크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럴 경우 수술 후 회복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 질환에 시달리는 노년층의 환자들이 안전하게 임플란트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고혈압, 당뇨병 등 질환이 있는 경우 수술 중 출혈, 혈압 상승, 인슐린 쇼크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과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환자의 상태를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전신 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은 난케이스에 속하여 환자의 개인 상태에 따라 맞춤 수술이 이뤄져야 하며 다년간의 경력을 갖춰 감이 아닌, 신경관의 위치, 치조골의 상태 등 세부적인 부분까지 꼼꼼하게 살핀 후 계획을 제안해주는 치과를 선택하여야 완성도 높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저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의 경우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확률이 기저 질환이 없는 환자들에 비해 높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세심한 관리가 이어져야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사후 관리를 진행해주는 곳을 택하는 것이 임플란트 유지 기간을 늘이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평소 구강 관리에 신경을 쓰고, 수술받은 임플란트 치과로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재수술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수원 화이트드림치과 박제현 대표원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