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9 (수)

  • 맑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8.5℃
  • 맑음서울 23.4℃
  • 맑음대전 22.8℃
  • 맑음대구 27.2℃
  • 맑음울산 23.4℃
  • 구름조금광주 23.3℃
  • 맑음부산 25.2℃
  • 구름조금고창 19.1℃
  • 흐림제주 23.2℃
  • 맑음강화 18.3℃
  • 맑음보은 19.6℃
  • 맑음금산 19.4℃
  • 구름많음강진군 20.6℃
  • 맑음경주시 21.4℃
  • 맑음거제 21.5℃
기상청 제공

삼성·현대차 순이익 30대 그룹 전체 81% 차지

작년 33조6760억 원…2010년 47.5%의 두배 '쏠림' 심화

  • 등록 2015.04.19 13:56:31

 

제목 없음.jpg
(조세금융신문) 삼성그룹(회장 이건희)과 현대차그룹(회장 정몽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국내 30대 그룹 전체 당기순이익의 5분의 4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34조 원으로 4년 전인 2010년(38조원)보다 4조원 감소한 데 비해, 나머지 28개 그룹은 같은 기간 42조 원에서 8조 원으로 34조원이나 쪼그라들었다.


이에 따라 삼성·현대차 그룹의 당기순이익이 30대 그룹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38%에서 81%로 갑절 수준으로 상승했다.


19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2014년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30대 그룹 1162개 계열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총 41조569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 계열사 118곳의 당기순이익은 33조6760억 원으로 30대 그룹 전체의 81%에 달했다. 2010년 47.5%의 두 배 수준이다.


두 그룹의 당기순이익이 30대 그룹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까지만 해도 49.2%로 50%를 넘지 않았다. 그러나 2012년 69.1%로 급상승한 뒤 지난해까지 매년 6%포인트씩 높아졌다.


이는 30대 그룹 전체의 당기순이익이 같은 기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두 그룹의 순익이 나머지 그룹들에 비해 덜 줄었기 때문이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영 환경에서 두 그룹이 상대적으로 선전한 것이다.


실제 30대 그룹의 당기순이익은 2010년 80조1510억 원에서 지난해 41조5690억 원으로 48.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삼성·현대차 그룹은 38조380억 원에서 33조6760억 원으로 11.5%(4조3620억 원) 줄어든 데 비해 나머지 28개 그룹은 42조1130억 원에서 7조8930억 원으로 81.3%(34조2200억 원)나 감소했다.


두 그룹과 나머지 28개 그룹의 매출액 증가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30대 그룹의 지난해 매출은 1350조8910억 원으로 2010년 원보다 19.1%(21조6915억 원) 늘었다. 이 중 삼성·현대차 그룹은 같은 기간 384조2050억 원에서 468조5280억 원으로 21.8% 증가했고, 28개 그룹은 749조7710억 원에서 882조3630억 원으로 17.7% 늘어났다.


이처럼 삼성·현대차 그룹과 나머지 28개 그룹의 매출 증가율은 큰 차이가 없는데도 수익성은 큰 차이를 보인 것이다.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만 따로 보면 삼성그룹의 당기순이익은 2010년 24조4980억 원에서 지난해 20조9990억 원으로 14.3%(3조4990억원) 감소했고, 현대차그룹은 13조5400억 원에서 12조6770억 원으로 6.4%(8630억 원) 줄었다.


이에 따라 삼성그룹이 30대 그룹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30.6%에서 50.5%로, 현대차그룹은 16.9%에서 30.5%로 각각 높아졌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4선 관록의 진선미 의원 “3高 시대, 민생·국익중심 경제정책 전환 시급”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현재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 상황을 국내 변수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모든 측면에서 국제 경제 상황과 닿아 있는 문제이며, 따라서 철저하게 국익을 위한 외교・통상・안보 정책을 꾀하지 않으면, 우리 국민들이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그 결실을 향유할 수 없습니다.” 지난 4월10일 제 22대 총선거에서 당선돼 4선 국회의원이 된 ‘경제통’ 진선미 의원이 22일 <조세금융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총선이 끝나자 정부의 가스요금 인상 움직임을 비롯하여 시장의 생필품과 식품 등 주요 소비재들이 줄줄이 가격인상을 예고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4선 의원이 된 진선미 의원은 제21대 국회에서 하반기 기획재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조세와 금융, 환율 등 국가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전반에 대한 시의적절한 문제제기와 해법을 제시, 소속된 더불어민주당에서 국정감사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됐다. 뿐만아니라 국회 예산정책처와 국회 입법조사처 등 국회의 양대 싱크탱크가 선정한 의정활동 우수의원으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 국정감사 기간 중 개최된 국회 예산정책처 설립 20주년 행사에서 정책활동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돼 상을 받는 자리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