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18.8℃
  • 맑음강릉 23.2℃
  • 맑음서울 20.7℃
  • 맑음대전 21.4℃
  • 맑음대구 22.7℃
  • 박무울산 21.3℃
  • 맑음광주 21.8℃
  • 맑음부산 22.4℃
  • 맑음고창 21.4℃
  • 흐림제주 23.7℃
  • 맑음강화 20.4℃
  • 맑음보은 18.7℃
  • 맑음금산 21.0℃
  • 구름조금강진군 23.9℃
  • 맑음경주시 23.2℃
  • 맑음거제 23.3℃
기상청 제공

금융

급전창구 ‘대부업’ 대출마저 거절…작년 불법사금융에 7.1만명 몰려

법정 최고금리 규제완화로 탄력적으로 운영돼야
자금조달 비용 낮춰 대부업 활성화 고려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제도권 대출 거절로 돈을 빌리지 못해 불법사금융으로 신규 유입된 저신용자가 최대 7만1000명에 달했다.

 

고금리 부담 완화 차원에서 법정 최고금리를 지속적으로 낮춰왔지만, 오히려 저신용 및 저소득층의 제도권 금융 이탈이라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동시에 법정 최고금리를 인상하거나 시장금리에 연동하는 등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5일 서민금융연구원이 발표한 ‘저신용자 및 대부업 대상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NICE 기준 지난해 신용평점 하위 10%에 해당하는 저신용자 중 불법사금융 신규 유입 규모는 3만9000명~7만1000명이었다.

 

전년(3만7000명~5만6000명)보다 하단 추정치는 2000명, 상단 추정치는 1만5000명 늘었다.

 

이는 NICE신용평가 자료 토대로 저신용자의 대부업 대출 승인율, 불법사금융 이동률 및 이동금액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추정한 결과다.

 

불법사금융 이용 규모 또한 크게 늘었다.

 

지난해 저신용자들이 이용한 불법사금융업자 수는 평균 2.4명이었고, 6명 이상 이용하고 있는 비중은 10.2%로 전년도의 4.0%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불법사금융 이용액도 6800억~1조23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00억~5900억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불법사금융 신규 유입이 급증한 이유는 저신용자들이 급전 창구로 이용했던 대부업에서조차 대출을 받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거절당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 비율이 68%로 지난해(63.4%) 대비 4.6%p 증가했다.

 

최근 기준금리 인사에 따라 조달 비용이 늘어난 대부업체들은 신규 대출 취급을 중단하거나 대폭 축소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연구원은 법정 최고금리 인하로 서민들이 체감하는 빚 부담 경감 효과 보단 대부업 시장에서 배제되는 부작용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 2018~2021년 법정 최고금리가 27.9%에서 20.0%로 7.9%p 하락한 결과 이자 부담은 1인ㅈ당 62만원 감소했고, 대부업 이용자는 같은 기간 약 135만3000며 줄었다.

 

나아가 이 중 약 74만~73만 명이 불법사금융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민금융연구원은 “금리 자체에 얽매이기보단 가능한 많은 사람의 금융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라며 “시장연동형 최고금리 도입 등 금융환경 변화를 고려한 유연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즉 최고금리를 고정적으로 묶어두지 않고 시장 상황을 감안해 탄력적인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도 시장연동형 최고금리를 검토한 바 있으나, 국회 반대로 현재 논의가 잠정 중단된 상태다.

 

아울러 대부업 활성화 필요성도 강조됐다. 대부업의 긍정적 측면을 고려해 제한적으로나마 은행 차입과 공모사채 발행, 자산유동화 등 자금조달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자는 내용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태그

대부업  불법사금융  대출  저신용자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4선 관록의 진선미 의원 “3高 시대, 민생·국익중심 경제정책 전환 시급”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현재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 상황을 국내 변수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모든 측면에서 국제 경제 상황과 닿아 있는 문제이며, 따라서 철저하게 국익을 위한 외교・통상・안보 정책을 꾀하지 않으면, 우리 국민들이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그 결실을 향유할 수 없습니다.” 지난 4월10일 제 22대 총선거에서 당선돼 4선 국회의원이 된 ‘경제통’ 진선미 의원이 22일 <조세금융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총선이 끝나자 정부의 가스요금 인상 움직임을 비롯하여 시장의 생필품과 식품 등 주요 소비재들이 줄줄이 가격인상을 예고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4선 의원이 된 진선미 의원은 제21대 국회에서 하반기 기획재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조세와 금융, 환율 등 국가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전반에 대한 시의적절한 문제제기와 해법을 제시, 소속된 더불어민주당에서 국정감사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됐다. 뿐만아니라 국회 예산정책처와 국회 입법조사처 등 국회의 양대 싱크탱크가 선정한 의정활동 우수의원으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 국정감사 기간 중 개최된 국회 예산정책처 설립 20주년 행사에서 정책활동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돼 상을 받는 자리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