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기상청 제공

보험

보험연수원 마이크로러닝 기반 신규 서비스 개시

(조세금융신문=방영석 기자) 보험연수원은 모바일·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보험연수원 인사이트(inSite)' 서비스를 내달 3일부터 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보험연수원 인사이트는 '보험(insurance), 정보(information), 통찰(insight), 혁신(innovation)이 모두 이 곳(Site)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마이크로러닝 기반 지식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다양한 분야별 전문가들의 지식과 노하우를 핵심만 담은 짧은 동영상으로 제공하고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서 시청하기에 최적화되도록 콘텐츠 및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한다. 또한 업무에 바쁜 직장인들이 출퇴근 시간 등을 이용, 학습함으로써 자기계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보험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이슈, 경영·소통, 리더십, 인문·창의, 워라밸 등 1만여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일 4편의 신규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보험연수원 인사이트 서비스는 내달 3일부터 보험연수원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 서비스 신청 → 결제 후 전용 홈페이지에서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기기(스마트폰, 태블릿)에서 학습을 원할 경우, 앱 스토어(애플 앱스토어 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보험연수원' 또는 '보험연수원 인사이트' 검색 후 전용 앱을 설치·이용하면 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