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정책기조는 서민증세, 부자감세로 요약된다. 부자들에 대해선 주식, 부동산 등 자산과세를 대폭 낮아주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 서민들은 소득이 낮아 세금으로는 못 거둬들이고 있으니 공공요금 인상으로 쥐어짜고 있다. [이미지=셔터스톡]](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30313/art_16802346487335_948880.jpg)
▲ 현 정부 정책기조는 서민증세, 부자감세로 요약된다. 부자들에 대해선 주식, 부동산 등 자산과세를 대폭 낮아주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 서민들은 소득이 낮아 세금으로는 못 거둬들이고 있으니 공공요금 인상으로 쥐어짜고 있다. [이미지=셔터스톡]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정부가 올해 세금 수입을 전년도보다 조금 더 많은 수준으로 예상했지만, 현실은 그 예상과 정반대였음이 드러나고 있다.
부동산 부자감세와 부동산 거래량 위축이 1~2월 세금 감소에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정말 심각한 건 경제 근간을 드러내는 부가가치세다.
부가가치세는 사람들이 돈을 쓰고, 수입할 때 붙는 세금으로 경기를 진단하는 기초 지표다.
물가가 감당할 만 하거나 수출 여건이 괜찮다면 부가가치세는 경상성장률을 따라 성장한다.
하지만 부가가치세가 두 자릿수 정도로 감소한다면, 돈이 돌아다니는 속도가 크게 줄었다는 셈이 되고, 수출과 소비가 둘 다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상황을 보면 미국발 금리인상 영향 등으로 물가가 오를 수밖에 없는 국면에 있었지만, 우리 정부는 이에 한 몫 더해 물가의 가장 기초가 되는 수도‧가스‧전기‧교통 등 공공요금을 올리면서 불난 집에 기름을 퍼부었다.
하나 더해 새 정부 출범 직후 제1교역국인 중국을 상대로 반중국 기조를 발표한 이후 중국수출이 줄줄이 타격을 입으면서 기업들도 수출 불황으로 재고가 쌓이면서 수입도 줄고 있다.
![3월 29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모습. 이 자리에서 정부는 내수활성화 대책을 내놓았다.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30313/art_16802346510949_f7de51.jpg)
▲ 3월 29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모습. 이 자리에서 정부는 내수활성화 대책을 내놓았다. [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한 정부의 내수활성화 방안은 관광 홍보 수준이며, 언론 지상에선 서민들을 효과적으로 쥐어짤 수 있는 2차 공공요금 인상이 거론되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31일 공개한 2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2월까지 누적 총 국세수입은 54.2조원으로 전년대비 22.5%나 급감했다.
소득세는 24.4조원으로 19.7% 줄었고, 부가가치세는 13.9조원으로 30.0%나 줄었다.
증시 불황으로 증권거래세는 49.0% 줄었다. 증권거래세는 선행 지수로 미래가 그리 순탄치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입이 줄어드니 관세도 줄었다. 36.3%나 감소했다.
![참담한 실적 [자료=기재부]](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30313/art_16802346459319_95f594.png)
▲ 참담한 실적 [자료=기재부]
2월 한 달을 기준으로 보면 세금수입 속도가 1월보다 더 빨리 떨어졌다. 누적감소율보다 2월 감소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2월 한 달 기준으로 2022년 2월 대비 총 국세 감소율은 44.1%로 올해 1~2월 누적 감소율보다 21.6%포인트 더 빠졌다.
소득세는 30.0%로 누적 감소율보다 10.3%포인트, 부가가치세는 50.0%로 20.0%포인트 떨어졌다.
증권거래세는 45.5%로 누적보다야 3.5%포인트 감소폭이 줄었지만, 이미 바닥에서 조금 위로 기었다고 대세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기획재정부는 2월 누적 국세수입이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15.7조원이 빠지긴 했지만, 정부가 어려운 사람들 세금유예해주느냐고 8.8조원 거둘 것을 안 거둔 것뿐이니 실질적으로는 6.9조원 정도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6.9조원만 해도 적은 수치는 아니지만, 일단 세금유예는 이 상황에 대한 하등의 변명거리가 되지 못한다.
쉽게 말해 세금유예는 정부가 납세자에게 빌려준 돈이고 빌려준 돈은 나중에 받게 되니 문제없는 거 아니냐는게 기재부 조세분석과 논리인데, 빌려준 돈을 나중에 받아봤자 또 빌려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31일 국세청이 공개한 2023년 1분기 국세통계 공개에 따르면, 2021년 국세청 납세유예 규모는 20.6조원, 2022년엔 19.3조원으로 거의 비슷했다. 빌려준 돈을, 또 빌려주고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납세유예는 무이자다. 빌려준 돈, 또 빌려주고 있는데 전액 무이자로 빌려주고 있다는 뜻이고, 물가 상승분만큼 국세 채권 가치가 떨어진다.
국세 채권은 팔아먹을 수도 없다. 정부는 빌려준 만큼(세금 유예를 해준 만큼) 국고 손실을 보게 된다.
![23년 1분기 국세통계 [그래픽=국세청]](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30313/art_16802346452894_ba832e.png)
▲ 23년 1분기 국세통계 [그래픽=국세청]
그나마 정부 편을 들어보자면, 납세유예로 정부가 손실을 입을 동안 납세자가 힘내서 돈을 벌어서 빚(밀린 세금)을 갚고 더 빚(추가 납세유예 신청)을 안 내면 납세유예로 정부 세금수입 실적이 떨어져도 괜찮다.
하지만, 지금은 경기하강 국면이기에 납세유예 규모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작지 않다. 물가는 오르고 무이자 채권은 늘어난다? 이건 99.9% 손실 예감이다.
지금 정부가 할 일은 변명이 아니라 현실을 받아들이고, 미국이나 영국처럼 증세를 하거나 아니면 세입경정으로 지출을 줄이거나 아니면 추경을 하는 등 세수결손에 대비한 실효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하지만 현재 정부는 종부세나 재산세 등 부자감세나 반도체 대기업 감세 추진 등 우려를 해소하기는커녕 더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이끌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