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추경호의 고임금 썰, 말로만 물가걱정 부자 몰아주기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나는 추경호 부총리가 나름 양식있는 정치인이며, 뛰어난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양식 있고, 머리 좋은 사람들이 부동산과 분배 문제에만 들어가면 고장난 라디오처럼 앞뒤 안 맞는 말을 하기 시작한다.

 

갑자기 일부 언론에서 고임금이 고물가를 부추긴다고 하는데 당최 무슨 헛소리를 하는지 알 수가 없다.

 

1997년 외환위기 때 기업들하고 관료들이 써먹었던 헛소리를 또 하고들 있다.

 

임금으로 물가상승을 일으키려면 전국적으로 근로자에게 준 월급보다 번 돈이 적어야 한다. 임금만 많고 번 돈이 적으면 기업이 가격으로 임금상승분을 전가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마냥 물가상승을 우려하긴 어려운데, 수요만 유지된다면 가격상승분을 임금상승분이 상쇄하기에 어느 정도 균형이 맞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걱정할 것은 수요다.

 

노동자가 쓸 돈이 없어 지출을 줄이게 되고, 수요가 줄면 그냥 다 망하는 거다. 외국으로 자본을 이전하거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없는 서민들부터 죽는다. 자녀교육과 부동산, 저임금으로 쥐어짜이는 한국인의 인생은 고달프다.

 

지금 전국을 보면 너도나도 임금상승 할 일이 없다. 제조업처럼 원가, 공급가, 납기 따지는 곳에서는 고유가 시기에 생각없이 월급 올리지 않는다. 중소기업은 더 말할 것도 없다.

 

끽해야 고임금 주겠다는 곳이 어디냐면 IT 전문직이나 대기업 일부 업종이다.

 

임금 올라가면 투자여력이 작아진다고 떠벌이는데 거기서는 사람한테 돈 쓰는 게 투자다.

 

최근 검찰에서 옷 벗은 전관들이 대형 로펌에 고연봉 스카웃 되지 않은가. 비슷한 거다. 물가 걱정되니 전관들 고연봉 주지 말고 투자하라는 부총리 좀 보고 싶다. 절대 안 그러겠지만.

 

임금이 올라가면 기업 경쟁력 떨어진다고 하는데 정말 코 막히고 귀 막히는 소리다.

 

언론에선 되도 않는 이론만으로 떠들어대는데 이론이 실체를 가지려면 숫자를 대야 한다.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를 보면 2015년 100에서 2020년 112.8가던 지수가 2021년 120.5까지 솟구쳤다. 이 지수는 노동 투입량보다 번 돈이 얼마나 늘었냐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기업이 번 총액을 의미한다.

 

그럼 기업 산출량이 불티나게 올랐냐. 좀 오르긴 했다. 2015년 100에서 2021년 114.5까지 올랐으니까.

 

눈치 빠른 사람은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을 것이다. 기업 산출량은 114.5인데 노동생산성 지수는 120.5이다.

 

노동투입량 지수를 보니 2015년 100에서 2021년 95로 줄었다. 산출량은 생산성지수보다 떨어지는데,  노동투입량이 줄었다? 그것은 생산성이 늘면서 직원을 자르든 임금을 줄여서 추가로 돈을 더 벌었다는 뜻이다.

 

추경호 부총리 정도 되는 사람들이 고물가 주원인이 몇몇 전문직 고임금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거라고 나는 믿는다.

 

고임금, 고물가를 핑계로 뭔가 다른 일을 하고 싶은 것이 아닌가 싶다.

 

28일 한국경영자총협회 조찬 간담회에서 손경식 경총 회장이 추경호 부총리한테 건의한 것은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와 파견노동 확대였다.

 

우리나라 경제의 구조적 문제는 노동시장 양극화와 과도한 비용지출(부동산‧자녀교육)로 인한 만성적 총 수요 부족이다.

 

상속세는 전 국민 가운데 낼 사람이 극히 적은 세금인데 총 수요 부족상태에 있는 우리나라 경제가 재벌, 자산가들 상속세를 깎아줄 때인가. 파견노동을 확대할 때인가.

 

서민들이 죽어나가도 부자 지원을 하고 싶다면 말릴 방법은 없다.

 

대신 서민, 중소기업, 양극화 등 거짓 핑계는 대지 말자.

 

전문가이자 정치인으로서 개인의 자존심을 지켜라.

 

하려면 당당하게 하라.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관치금융의 덫에 걸린 농협금융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최근 농협금융지주와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NH투자증권 사장 인선을 놓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여기에 금감원까지 가세하면서 관치금융에 대한 논란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의 연임 도전과 관련이 있다. 정 전 사장은 옵티머스 펀드 사태를 일으켜 금감원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장본인이다. 여기에다, 폐쇄적인 조직운영, 개인 사법리스크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6년간 장기 집권에 성공한 저력을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태가 범농협 차원의 규제 리스크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영채 전 사장이 4연임에 도전하자,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쟁점을 살펴보면, 농협중앙회는 이번에는 농협 출신 인사를 추천해 NH투자증권의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반면, 이석준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자본시장 전문가를 앉혀야 한다고 반발하면서 농협중앙회와 마찰이 일어난 것이다.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이석준 지주회장의 말도 일리가 있고, 범농협 차원의 리스크관리가 중요하다는 대주주의 판단도 일리가 있다. 참고로, 농협중앙회는 농협금융지주 지분 100%를 소유한 1인 최대 주주다. 문제는
[인터뷰] 4선 관록의 진선미 의원 “3高 시대, 민생·국익중심 경제정책 전환 시급”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현재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 상황을 국내 변수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모든 측면에서 국제 경제 상황과 닿아 있는 문제이며, 따라서 철저하게 국익을 위한 외교・통상・안보 정책을 꾀하지 않으면, 우리 국민들이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그 결실을 향유할 수 없습니다.” 지난 4월10일 제 22대 총선거에서 당선돼 4선 국회의원이 된 ‘경제통’ 진선미 의원이 22일 <조세금융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총선이 끝나자 정부의 가스요금 인상 움직임을 비롯하여 시장의 생필품과 식품 등 주요 소비재들이 줄줄이 가격인상을 예고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4선 의원이 된 진선미 의원은 제21대 국회에서 하반기 기획재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조세와 금융, 환율 등 국가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전반에 대한 시의적절한 문제제기와 해법을 제시, 소속된 더불어민주당에서 국정감사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됐다. 뿐만아니라 국회 예산정책처와 국회 입법조사처 등 국회의 양대 싱크탱크가 선정한 의정활동 우수의원으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 국정감사 기간 중 개최된 국회 예산정책처 설립 20주년 행사에서 정책활동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돼 상을 받는 자리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