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폭탄에 中 희토류 수출 통제로 ‘정밀 타격’…美 공급망 붕괴 신호탄될까?

2025.04.14 11:14:23

美 CNBC, "중국산 제품 주문을 전면 중단, 해상 화물 항만 방치" 보도

[사진=셔터스톡]

▲ [사진=셔터스톡]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미국의 초고율 상호관세 부과에 중국이 ‘희토류 카드’로 맞서며 미·중 무역 전쟁이 전면전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공급망 전문가들은 “현재의 충격은 시작에 불과하며,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드론, 전기차, 미사일 등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인 희토류 6종과 희토류 자석에 대한 수출 제한을 발표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해당 품목은 특별 수출 허가 없이는 수출이 불가능하며, 향후 새 규제가 시행되면 미국 군수기업 등 특정 기업에 대한 수출을 영구 차단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145%에 달하는 상호관세 부과 정책에 대한 사실상 보복 조치로 해석된다.

 


미국은 지난 2일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대한 대대적인 관세 폭탄을 선언했고, 이에 중국은 전략물자 통제라는 ‘정밀 타격’으로 응수한 것이다.

 

◇ 美 기업들 “중국산 전면 취소”…해상화물도 항만서 ‘방치’
관세 여파는 미국 산업계 전반에 심각한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미국 CNBC는 13일 “대다수 미국 기업이 중국산 제품 주문을 전면 중단했고, 해상 화물이 항만에서 방치되는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공급망 분석업체 시-인텔리전스(Sea-Intelligence)의 앨런 머피 CEO는 “미국 수입업체들이 중국산 가구는 물론 장난감, 의류, 신발, 스포츠용품까지 주문을 중단했다”며 “컨테이너선은 정박해 있지만, 제품을 내릴 곳이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세코 로지스틱스의 브라이언 보크 COO 역시 “동남아는 일시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국산 제품은 취소가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상 운송업체 OL USA의 앨런 베어 CEO는 “중국과 관련된 비즈니스는 거의 전면 중단됐으며, 뉴욕항 등 주요 항만에는 운임 미지급과 통관 지연으로 방치된 화물이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욕 항만 규정에 따르면 30일 이상 방치된 화물은 ‘유기 화물’로 간주돼 경매나 처분 대상이 된다.

 

◇ 中 희토류 수출 제동… 美 전략산업 ‘급소’ 노렸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희토류 공급망에 의존적인 미국 전략산업의 '급소'를 정확히 겨냥한 것으로 평가된다. 희토류는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국방산업에 필수적인 소재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정제 능력의 85%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NYT는 “미국 기업들이 희토류를 비축하고 있긴 하나, 그 양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생산 차질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일부 미국 기업은 대체 공급처를 찾아 생산기지를 베트남이나 인도로 이전하거나, 유럽에 재고를 저가에 처분하는 방식을 시도하고 있지만,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의 경우 생산 이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시-인텔리전스 머피 CEO는 “중국과의 갈등이 단기 협상용인지, 장기 전략인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미국 내 대규모 투자도 망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태로 미국 내 중소기업은 생존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 미국 의류·신발협회(AAFA)의 스티븐 라마르 CEO는 “관세 폭탄과 정책 불확실성이 코로나19 이후 최악의 공급망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중소기업은 주문을 취소하고, 품절 사태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관세가 지속될 경우, 미국 내 제조 기반 회귀도 사실상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종명 기자 cma0211@tfnews.co.kr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조세금융신문 사업자 등록번호 : 107-88-12727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신사동 171-57) 제이제이한성B/D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713 등록일자 : 2011. 07. 25 제호 : 조세금융신문 발행인:김종상 편집인:양학섭 발행일자 : 2014. 04. 20 TEL : 02-783-3636 FAX : 02-3775-4461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