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크래프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5/art_1750059117226_9a8bb2.png)
▲ [이미지=크래프톤]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크래프톤이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게임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AI 벤치마크 ‘Orak(오락)’을 16일 공개했다.
‘Orak’은 이름 그대로 ‘오락’에서 착안한 명칭으로, 게임 환경에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행동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벤치마크는 액션, 어드벤처, RPG, 시뮬레이션, 전략, 퍼즐 등 총 6개 장르의 대중적인 게임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크래프톤이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한 ‘CPC(Co-Playable Character)’ 프로젝트에서 축적한 AI 설계 경험이 반영됐다. LLM 기반 AI가 복잡한 게임 맥락을 해석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다.
핵심 기술은 크래프톤이 자체 개발한 ‘MCP(Model Context Protocol)’다. MCP는 게임 정보를 언어모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로 전달하고, 다시 언어모델의 출력을 게임 행동으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LLM 기반의 AI는 이미지와 텍스트로 주어진 게임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액션을 판단하고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액션 게임에서는 장애물의 위치를 인식하고 점프나 회피 등의 행동을 선택하게 된다.
크래프톤은 Orak을 통해 게임 AI 연구를 고도화하고, AI가 인간과 함께 플레이하는 ‘코플레이(Co-Play)’ 게임 경험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AI 연구자들이 실제 게임 환경에서 LLM을 학습·적용할 수 있도록 Orak용 파인튜닝 데이터셋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 본부장은 “Orak은 크래프톤의 선행 연구 역량이 집약된 게임 특화 LLM 벤치마크”라며 “향후 Orak을 기반으로 한 LLM 설계 대회도 준비 중이며, AI 기반 게임 경험의 혁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크래프톤은 Orak을 시작으로, LLM 기술을 게임 산업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는 중장기 전략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