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한국부동산원]](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5/art_17503107523913_0f0760.png)
▲ [그래프=한국부동산원]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급등세다. 주간 기준으로는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강남3구의 상승세가 여전한 가운데, 마포·용산·성동 등 비강남권 핵심 지역도 이례적 급등세를 보이며 시장 전반의 과열 양상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셋째주(1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36% 올랐다. 이는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18년 9월 둘째주(0.45%)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2월 첫째주 이후 2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6월 들어서만도 상승폭이 0.19%→0.26%→0.36%로 가팔라지고 있다.
◇ 마용성 ‘역대 최고치’ 경신…비강남권의 반란
이번 주 서울에서 가장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인 지역은 단연 성동구다. 금호·하왕십리동 중심 단지들이 가격을 이끌며 0.76% 올라, 2013년 4월 이후 12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마포구는 아현·염리동 중심으로 0.66% 상승해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용산구 역시 이촌·이태원동 위주로 0.61% 올라, 2018년 2월 이후 7년 4개월 만에 가장 가파른 오름폭을 나타냈다.
이른바 ‘마용성’으로 불리는 비강남권 핵심지들이 동시에 고점 돌파 흐름을 보이며, 과거에는 강남권의 부차적 반사이익에 머물던 이들 지역이 이제는 스스로 가격 선도 지역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준다.
◇ 강남3구도 고공행진…심리 요인이 견인
전통적 강세 지역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도 여전히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강남구는 압구정·대치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0.75% 상승했고, 서초구는 잠원·서초동 중심으로 0.65%, 송파구는 신천·잠실동 위주로 0.70% 뛰었다.
강동구도 0.69% 오르며 강남권 상승세에 동참했다. 이로써 강남3구에 강동구를 포함한 동남권은 주간 상승률 0.70%로, 201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번 상승은 단순한 지역적 특성이나 개별 호재를 넘어, 정책 불확실성 완화와 규제 강화 전 매수세 유입이라는 심리적 요인들이 맞물려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이은형 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기준금리의 고점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됐고, 시장이 고금리에 익숙해졌다”며 “가격이 고점 대비 조정된 데다 인플레이션 환경도 지속되면서, 서울생활권에서는 억눌렸던 실수요 거래가 되살아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과거처럼 수도권과 지방이 동반 급등하는 불장은 기대하기 어렵고, 현재는 실수요 중심의 점진적 회복 국면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 “이젠 실용 정책 나올 때…양도세 감면 필요”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대출, 세금 규제 등 대부분의 정책 수단은 이미 다 사용된 상태이며, 이재명 정부는 세금 규제는 하지 않겠다고 밝힌 상황”이라며 “이제는 매물 출회를 유도할 수 있는 양도세 감면과 같은 실용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금은 전국적인 상승장이 아니라, 특정 지역만 과열된 국면”이라며 “이럴수록 규제를 더하기보다, 시장 흐름을 유도하는 접근이 더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도 같은 맥락에서 “정부가 공급이든 규제든 지나치게 구체적인 조치를 내놓으면 시장을 자극하는 논쟁만 유발할 수 있다”며 “시장 개입을 최소화하고 정책은 모호할수록 과열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실수요가 이끄는 국지적 회복…지방은 '제외 구간'
이번 주 수도권에서는 성남 분당구(0.60%), 과천시(0.48%) 등이 뚜렷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경기 전역은 0.03% 오르며 서울에 비해 둔한 흐름을 보였다. 인천은 0.01%, 수도권 전체는 0.13% 상승했다.
반면 지방은 0.03% 하락세를 지속하며 서울과의 온도차가 여전히 큰 상황이다. 대구, 광주, 부산 등 5대 광역시는 하락세를 이어갔고, 세종은 0.10%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줄었다.
전문가들은 서울과 일부 수도권 핵심지의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으나, 전국적 확산 가능성은 낮다는 데 의견을 모은다. 이번 시장 반등은 '실수요를 중심으로 한 제한적 회복'에 가깝고, 정부의 정책 방향도 무리한 개입보다 시장의 자율 흐름을 지켜보는 신중한 태도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이어지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