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전용 카지노 업체인 파라다이스[034230]는 13일 오전 11시 39분 현재 전날보다 -5.99% 하락한 1만 36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파라다이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파라다이스의 2023년 매출액은 9942억으로 전년대비 69.2%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1458억으로 전년대비 1,300.3%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5%, 상위 1%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9년 보다도 1.5%(147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파라다이스 연간 실적 추이 파라다이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13억원으로 2022년 143억원보다 -30억원(-21.0%)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2.3%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파라다이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13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
반도체장비 부품 제조 및 세정/코팅 전문업체인 미코[059090]는 13일 오전 11시 22분 현재 전날보다 8.65% 오른 96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36.3%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미코의 2023년 매출액은 3873억으로 전년대비 -6.6%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211억으로 전년대비 -67.2%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9%, 하위 28%에 해당된다. [그래프]미코 연간 실적 추이 미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30억원으로 2022년 110억원보다 20억원(18.2%)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8.2%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미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30억원으로 증가했다. [표]미코 법인세 납부 추이
동성그룹의 사업지주사인 동성케미컬[102260]은 13일 오전 10시 24분 현재 전날보다 -3.46% 하락한 377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47.3%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동성케미컬의 2023년 매출액은 1조 1180억으로 전년대비 -1.9%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816억으로 전년대비 47.4%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45%, 상위 28%에 해당된다. [그래프]동성케미컬 연간 실적 추이 동성케미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8억원으로 2022년 89억원보다 9억원(10.1%)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4.3%를 기록했다. 동성케미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98억원으로 증가했다. [표]동성케미컬 법인세 납부 추이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전문업체인 매커스[093520]는 13일 오전 9시 47분 현재 전날보다 6.6% 오른 1만 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47.5%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매커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9.5% 줄어든 1754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16.2% 줄어든 26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4%, 하위 50%에 해당된다. [그래프]매커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매커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2억원으로 2022년 65억원보다 -13억원(-20.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3%를 기록했다. 매커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5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매커스 법인세 납부 추이
자동화 장비 전문업체인 나인테크[267320]는 13일 오전 9시 37분 현재 전날보다 7.43% 오른 31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04.1%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나인테크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48.8% 늘어난 1130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해서 -2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1%, 하위 14%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48.8%(370억 4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나인테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나인테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4억원으로 2022년 2억원보다 52억원(2,6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1.4%를 기록했다. 나인테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7억원, 2억원, 54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
보안 솔루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전문업체인 드림시큐리티[203650]는 13일 오전 9시 36분 현재 전날보다 8.13% 오른 352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드림시큐리티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드림시큐리티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8% 늘어난 2327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31.8% 늘어난 333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4%, 상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드림시큐리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드림시큐리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2억원으로 2022년 26억원보다 6억원(23.1%)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2.5%를 기록했다. 드림시큐리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2억원, 26억원, 32
스포츠용품 제조, 판매 및 임대업, 자동차 판매 영위하는 기업인 LS네트웍스[000680]는 13일 오전 9시 20분 현재 전날보다 10.51% 오른 436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63.0%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LS네트웍스는 2023년 매출액 3796억원과 영업이익 11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4.6%, 영업이익은 44.9%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39%, 상위 29%에 해당된다. [그래프]LS네트웍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LS네트웍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8억원으로 2022년 4억원보다 14억원(35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4.4%를 기록했다. LS네트웍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8억원으로 증가했다. [표]LS네트웍스 법인세 납부 추이
N SI 등 다양한 사업 영위하는 기업인 케이씨에스[115500]는 13일 오전 9시 16분 현재 전날보다 10.44% 오른 1만 174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케이씨에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케이씨에스는 2023년 매출액 477억원과 영업이익 3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4.5%, 영업이익은 483.3%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6%, 상위 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케이씨에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케이씨에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억원으로 2022년 2억원보다 4억원(2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7.6%를 기록했다. 케이씨에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6억원으로 증가했다. [표]케이씨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관련 종합솔루션 공급업체인 MDS테크[086960]는 13일 오전 9시 15분 현재 전날보다 7.43% 오른 1244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8.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MDS테크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2% 늘어난 1553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7.0% 늘어난 8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9%, 상위 3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0.2%(2억 5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MDS테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MDS테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0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9억원(9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66.7%를 기록했다. MDS테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리모컨, 스피커 등 전자제품 주변기기 제조업체인 삼진[032750]은 13일 오전 9시 3분 현재 전날보다 29.8% 오른 56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9,181.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삼진은 2023년 매출액 1564억원과 영업이익 1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0.8%, 영업이익은 13.9%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9%, 상위 35%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0.8%(12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삼진 연간 실적 추이 삼진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억원으로 2022년 2억원보다 4억원(20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85.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8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삼진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6억원으로 증가했다. [표]삼진 법인세 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