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 데크플레이트 제조 및 판매업체인 덕신하우징[090410]은 26일 오후 1시 54분 현재 전날보다 5.0% 오른 1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01.2%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거래원 동향은 미래에셋, 삼성증권, NH투자 등이 매수 상위 목록에 나타나고 있다. 아직까지 외국계 증권사 창구를 통한 매매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간 미래에셋이 매수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SPC삼립, 한화생명 등이 있다. [표]덕신하우징 거래원 동향 덕신하우징의 2019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0.1% 늘어난 1490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75.4% 줄어든 26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9%, 하위 21%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덕신하우징 연간 실적 추이 덕신하우징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억원으로 2018년 7억원보다 -6억원(-85.7%)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
레미콘 제조업체인 부산산업[011390]은 26일 오후 1시 49분 현재 전날보다 4.61% 오른 14만 7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88.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차트상 주가의 흐름은 현재 단기·중기 이평선이 정배열 상태로 전형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 종목의 차트에서 최근에 주가 5MA 상향돌파, 캔들패턴(상승반전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부산산업 일봉 차트 부산산업의 2019년 매출액은 1410억으로 전년대비 18.1%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86억으로 전년대비 90.1%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6%, 상위 18%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19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6년 보다도 14.6%(180억 1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부산산업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부산산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9억원으로 2018년 11억원보다 8억원(72.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
자동차용 시트류 부품 제조업체인 현대공업[170030]은 26일 오후 1시 44분 현재 전날보다 8.71% 오른 924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현대공업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차트상 주가의 흐름은 중기적으로 역배열을 보이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반등흐름이 나오면서 20일선을 넘어서는 모습이다. 최근 이 종목의 차트에서 캔들패턴(상승반전형),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의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그래프]현대공업 일봉 차트 현대공업의 2019년 매출액은 1667억으로 전년대비 5.1%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4억으로 흑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50%, 상위 3%에 해당된다. [그래프]현대공업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현대공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5억원으로 2018년 8억원보다 7억원(87.5%)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6.8%를 기록했다. 현대공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18년에는 감소했
2018년 시공능력 32위의 KCC그룹 건설업체인 KCC건설[021320]은 26일 오후 1시 24분 현재 전날보다 -5.6% 하락한 809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3.3%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추세선으로 보면 중기 정배열 구간에서 상승해왔지만 근래에 많이 밀리면서 60일선까지 깨뜨리는 모습이다. 이 종목의 차트에서 최근에 삼선전환도(음전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KCC건설 일봉 차트 KCC건설은 2019년 매출액 1조 6425억원과 영업이익 58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54.4%, 영업이익은 23.2%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7%, 상위 38%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19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7년 보다도 23.8%(3161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KCC건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KCC건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48억원으로 2018년 92억원보다 56억원(60.9%)
가전 및 IT, 자동차용 사출 부품 제조업체인 신성델타테크[065350]는 26일 오전 11시 15분 현재 전날보다 5.87% 오른 974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신성델타테크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거래원 동향은 NH투자, 미래에셋, 삼성증권 등이 매수 상위 목록에 나타나고 있다. 이 시간 NH투자가 매수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엔에스, 위드텍 등이 있다. [표]신성델타테크 거래원 동향 신성델타테크는 2019년 매출액 4536억원과 영업이익 10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8%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18.2%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8%, 하위 41%에 해당된다. [그래프]신성델타테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신성델타테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7억원으로 2018년 16억원보다 11억원(68.8%)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3.8%를 기록했다. 신성델타테크의 지난 3년 동안
NICE그룹의 금융지원 서비스기업인 한국전자금융[063570]은 26일 오전 11시 8분 현재 전날보다 12.22% 오른 661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한국전자금융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거래원 동향은 미래에셋, NH투자, 삼성증권 등이 매수 상위 목록에 나타나고 있다. 이 시간 미래에셋이 매수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제이엠티, 코리아에프티 등이 있다. [표]한국전자금융 거래원 동향 한국전자금융의 2019년 매출액은 2829억으로 전년대비 -3.9%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60억으로 전년대비 -35.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1%, 하위 32%에 해당된다. [그래프]한국전자금융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한국전자금융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억원으로 2018년 67억원보다 -61억원(-91.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7.1%를 기록했다. 한국전자금융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브레이크 패드의 제조 및 판매업체인 KB오토시스[024120]는 26일 오전 10시 57분 현재 전날보다 5.61% 오른 1만 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31.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일봉 차트의 모습은 단기적으로 역배열을 만들면서 조정을 받았지만, 반등하면서 5일선을 넘어서는 모습이다. 최근 이 종목의 차트에서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의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그래프]KB오토시스 일봉 차트 KB오토시스의 2019년 매출액은 1478억으로 전년대비 -2.7%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27억으로 전년대비 -13.0%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4%, 하위 4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3년 연속 하락하고 있으나 그 하락폭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프]KB오토시스 연간 실적 추이 KB오토시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6억원으로 2018년 22억원보다 4억원(18.2%)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5%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
차병원그룹의 바이오 업체인 차바이오텍[085660]은 26일 오전 10시 42분 현재 전날보다 7.12% 오른 1만 9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7.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차바이오텍의 2019년 매출액은 5346억으로 전년대비 9.4%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58억으로 전년대비 -69.3%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1%, 하위 2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19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8년 보다도 9.4%(460억 1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차바이오텍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차바이오텍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49억원으로 2018년 2억원보다 147억원(7,35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2.1%를 기록했다. 차바이오텍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18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자동차 시트커버 에어백 제조사인 두올[016740]은 26일 오전 10시 2분 현재 전날보다 7.3% 오른 42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1.3%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일봉 차트의 모습은 현재 단기·중기 이평선이 정배열 상태로 전형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래프]두올 일봉 차트 두올은 2019년 매출액 4659억원과 영업이익 27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6%, 영업이익은 -9.9%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1%, 하위 41%에 해당된다. [그래프]두올 연간 실적 추이 두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05억원으로 2018년 66억원보다 39억원(59.1%)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4.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4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두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18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05억원으로 증가했다. [표]두올 법인세 납부 추이
1,000여 종의 자동차부품 생산업체인 구영테크[053270]는 26일 오전 9시 46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32.2%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21.06% 오른 39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일봉 차트의 모습은 단기 이평선이 역배열을 만들며 조정을 받다가 다시 상승으로 돌아선 모습이다. 이 종목의 차트에서 최근에 최근 5일 매물대 돌파,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구영테크 일봉 차트 구영테크의 2019년 매출액은 2308억으로 전년대비 18.2%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52억으로 전년대비 -2.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6%, 하위 49%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구영테크 연간 실적 추이 구영테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억원으로 2018년 16억원보다 -11억원(-68.8%)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3.2%를 기록했다.
강관 전문기업인 동양철관[008970]은 26일 오전 9시 27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15.7%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3.85% 오른 1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일봉 차트의 모습은 현재 단기·중기 이평선이 정배열 상태로 전형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래프]동양철관 일봉 차트 동양철관의 2019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0.9% 늘어난 1634억원이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해서 3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47%, 상위 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동양철관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동양철관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18년 0원보다 2억원(1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0.0%를 기록했다. 동양철관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억원, 0원, 2억원으로
대구/경북 지역 중심의 석유류 유통 전문업체인 흥구석유[024060]는 26일 오전 9시 23분 현재 전날보다 14.33% 오른 79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22.8%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거래원 동향은 미래에셋, NH투자, 삼성증권 등이 매수 상위 목록에 나타나고 있다. 아직까지 외국계 증권사 창구를 통한 매매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간 미래에셋이 매수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전방, 삼진 등이 있다. [표]흥구석유 거래원 동향 흥구석유의 2019년 매출액은 1507억으로 전년대비 -9.3%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5억으로 전년대비 -54.1%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4%, 하위 27%에 해당된다. [그래프]흥구석유 연간 실적 추이 흥구석유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5억원으로 2018년 6억원보다 19억원(316.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3.1%를 기록했다. 흥구석유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5억원, 6
윤활유 제조 및 LPG 충전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인 극동유화[014530]는 26일 오전 9시 22분 현재 전날보다 3.08% 오른 3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73.0%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차트상 주가의 흐름은 단기간에 골든크로스를 만들고 주가가 60일선까지 뚫고 가는 모습이다. 최근 이 종목의 차트에서 삼선전환도(양전환) 등의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그래프]극동유화 일봉 차트 극동유화의 2019년 매출액은 7956억으로 전년대비 -4.3%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66억으로 전년대비 -10.3%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9%, 하위 41%에 해당된다. [그래프]극동유화 연간 실적 추이 극동유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2억원으로 2018년 41억원보다 1억원(2.4%)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2.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극동유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4억원, 41억원, 42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석유류 판매 전문기업인 중앙에너비스[000440]는 26일 오전 9시 19분 현재 전날보다 8.51% 오른 94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46.1%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거래원 동향은 미래에셋, NH투자 등이 매수 상위 목록에 나타나고 있다. 아직까지 외국계 증권사 창구를 통한 매매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간 미래에셋이 매수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알엔투테크놀로지, 파이오링크 등이 있다. [표]중앙에너비스 거래원 동향 중앙에너비스의 2019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3.7% 줄어든 657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55.6% 줄어든 6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 하위 1%에 해당된다. [그래프]중앙에너비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중앙에너비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18년 3억원보다 -1억원(-33.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5.0%를 기록했다. 중앙에너비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