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금융

[기자수첩] 청년을 위한 ‘주거 사다리’는 없다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정부가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를 위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80%까지 확대했지만, 여론은 싸늘하다. 주변을 둘러봐도 선뜻 집 매매를 결정했단 반응을 찾기 힘들다.

 

LTV가 풀렸으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로 묶여있으니, 고연봉자인데 LTV 때문에 대출이 막혔던 사람들만을 위한 정책이라는 냉소가 돌아온다.

 

최근 정부는 청년들의 첫 집 마련을 돕기 위해 집값의 최대 80%를 빌릴 수 있도록 LTV 완화 정책을 내놨다. 그런데 이때 DSR 40%룰이 저연봉자의 의지를 꺾는 요인이 된다. 총대출금액이 1억원이 넘을 경우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의 40%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서울 지역 투기 지구 내 9억원짜리 아파트를 매매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LTV 80%와 DSR 40%를 동시에 적용한다.

 

3000만원 연봉자라면 최대 2억200만원 대출이 가능하다. 9억원 집 마련에 6억9800만원이 부족하다.

 

5000만원 연봉자라면 3억3600만원이 대출된다. 5억6400만원이 부족하다.

 

7000만원 연봉자라면 4억7100만원을 대출받을 수 있다. 4억2900만원이 부족하다.

 

저연봉자는 LTV 완화 혜택을 체감하기 힘들다.

 

정부 입장에선 집 매매 희망자들이 갚을 수 있을 만큼만 대출을 받는 문화를 정착, 가계부채가 폭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DSR 장치를 마련한 것인데 저소득 무주택자들에게 내 집 마련 기회를 주겠다는 본래 정책 취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은 또 어떤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한국은행의 연속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현재 5%를 넘어섰다. 6억원을 대출받는다 가정하고 연 5% 금리를 적용, 만기 40년 조건이면 월 상환액이 289만원에 달한다.

 

LTV규제가 완화됐지만 DSR이 풀리지 않으면서 규제 완화 효과는 제한적이다.

 

한은의 기준금리 상승 기조가 지속되며 대출금리 오름세도 꺽이지 않을 전망이다.

 

저연봉자, 대다수의 청년들을 말한다. 여전히 내 집 마련은 딴세상 이야기라고. 청년을 위한 주거 사다리는 어디에 있는가, 아직도 부재중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