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4.5℃
기상청 제공

인신협 “온라인 기사 심의를 광고주가? 윤리위 맞나?”

인터넷신문윤리위 대표를 광고주협회, 인터넷기업협회가 맡기로 한 결정 초강력 규탄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광고주와 포털 사업자가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를 장악, 온라인 매체의 취재보도 심의에 나서려고 하자 한국인터넷신문협회(인신협)가 발끈했다. 

 

864개 인터넷신문의 자율심사 기구인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인신위)가 한국광고주협회(광고주협)와 한국인터넷기업협회(인기협)로하여금 위원장을 6년간 자의적으로 임명하는 내용으로 위원장 선임 절차를 일방적으로 변경하려 하기 때문이다. 

 

인신협은 16일 낸 성명서에서 “인신위 위원장 선출절차 변경에 대해 이사단체인 인신협이 단호하게 반대했으나 묵살 당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인신협은 광고주협과 인기업의 이번 시도를 광고주와 포털의 언론 자유 침해 시도로 규정하고 “130개 회원사들의 뜻을 모아 이를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인신위는 지난 7일 개최한 임시총회에서 ‘주주인 3단체(광고주협, 인기협, 인터넷신문협회)가 가나다 순으로 위원장을 맡는 3년 단임의 임기제’를 통과시켰다. 통과에 앞서 그동안 위원장을 맡아왔던 인신협 추천인사의 신임 위원장 선출과 지배구조(거버넌스) 발전 방안을 별도로 논의하자는 제안을 부결시켰다.


인신협은 이에 대해 “인터넷신문 기사를 심사하는 인신위를 광고주들과 포털들이 장악하겠다는 의도가 명백하다”고 논평했다. 

 

특히 “인신위는 민간 자율기구이면서도 7억여 원이 넘는 언론진흥기금을 지원받고 있다”며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취재 보도 윤리와 공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기구이기 때문인데, 이런 인신위를 광고주와 포털이 장악한다면, 언론 길들이기와 언론통제 수단으로 전락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광고주와 포털이 감시하고 심사하는 매체의 취재보도를 어떤 독자들이 믿을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한 뒤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고 인터넷 신문의 신뢰를 무너뜨릴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인신위의 변화가 필요하다면 별도의 협의체를 만들어 차분히 논의하면 될 일”이라며 “아무런 사전 협의 없이 광고주협과 인기협이 일방적으로 위원장 선임 절차 변경을 서두르는 것은 그동안의 인신위 활동마저 부정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인신협은 결론적으로 “광고주와 포털이 장악한 인신위에는 참여할 명분을 도저히 찾을 수 없다”며 "인신위의 정상화를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보유세 강화를 통한 ‘주택가격 안정화’의 허상
(조세금융신문=홍기용 인천대 명예교수, 전 한국세무학회장) 최근 정부는 “고가의 집을 보유하는 데 부담이 크면 집을 팔 것이고, 유동성이 생길 것”이라며 “재산세를 1% 메긴다고 치면, (집값이) 50억이면 1년에 5000만원씩 (보유세를) 내야”라며, 보유세 강화를 예고하는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부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때마다 보유세를 강화하는 세금대책을 반복적으로 내놓고 있다. 주택의 소유자들이 높은 보유세로 인하여 매물을 내놓아 주택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 논리를 무시한 ‘세금 만능주의’의 한계이며, 경제 현실을 너무 단순화하고, 지나친 정치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시장경제체제의 국가에서는 주택가격의 안정화 대책은 주택공급이 우선이고, 그 다음으로 규제와 세제를 보조수단으로 거론될 수 있다. 주택공급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지만, 주택가격 안정화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럼에도 단기간 세금정책으로 해결하려는 접근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택가격은 주택공급 이외에 금융, 인구 구조, 심지어 사회적 불안 심리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그동안 똘똘한 한 채 중심의 주택정책으로 인하여, 1세대 1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