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이 20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한국경제인협회 제64회 정기총회 종료 후 진행된 New CI 선포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311/art_17417374000231_0be5bd.jpg)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한국경제인협회는 1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위원회' 출범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경협은 "낙후된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 건의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며 "규제혁신, 인력·생산성, 신산업 등 분과별 정책과제를 선별해 국회와 정부에 전달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김상현 롯데쇼핑 대표이사 부회장이 위원장을 맡았고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 정호석 호텔롯데 대표, 이재상 하이브 대표, 최정호 대한항공 부사장, 조영석 CJ㈜ 부사장 등 15명이 운영위원으로 참여했다.
자문위원은 이동일 세종대 교수, 정연승 단국대 교수, 박정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현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 4명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한국 경제는 보호무역의 확대로 제조업 중심의 수출 주도 경제 성장 전략이 한계에 봉착했다"며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 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은 각종 규제와 진입 장벽 등으로 혁신 기술 서비스산업의 활성화가 지연되고 이해관계자 간 갈등으로 사업이 무산되는 등 아쉬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성장잠재력 회복과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위한 마지막 퍼즐은 바로 서비스산업의 육성 발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비스업에 대한 정책 지원을 제조업 수준으로 확대하고 규제를 선진국 수준으로 완화해 기업 투자를 촉진해야 한다"면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과 같은 법적 토대를 마련해 인력 양성 등 체계적인 지원 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범 회의에는 여야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공식 연구단체인 '한국경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모임'이 초청됐다.
발표를 맡은 박정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소규모 영세 업체, 저부가가치 업종 중심의 구조적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인공지능(AI), 자동화, 로봇 기술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의 접목으로 서비스 산업의 미래를 견인할 역량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