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강릉 11.3℃
기상청 제공

은행

KB금융지주, 11개 계열사 대표이사 후보 선정

해당 계열사 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 최종 심사·추천을 거쳐 주주총회에서 확정


(조세금융신문=박소현 기자) KB금융지주가 KB국민카드, KB생명보험 등 11개 계열사 대표이사 후보를 선정했다.

 

KB금융지주는 20일 상시지배구조위원회에서 KB국민카드 등 11개 계열사 대표이사 후보를 선정했다. 선정된 후보는 오는 21일과 22일 양일간 해당 계열사 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 최종 심사·추천을 거쳐 주주총회에서 확정된다.


각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KB국민카드 이동철KB금융지주 부사장 KB생명보험 허정수KB국민은행 부행장 KB저축은행 신홍섭KB국민은행 전무 KB데이타시스템 김기헌KB금융지주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후보로 선정했다.

 

신임 대표이사 임기는 2년이다. 다만, KB금융지주 부사장을 겸직하는 KB데이타시스템 대표이사 임기는 1년이다.

 

KB자산운용은 대체자산 투자증가 등 고객 Needs 변화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직을 전통자산대체자산부문으로 분리한다. 대체자산 부문은 전문경영인인 이현승현대자산운용 대표를 후보로 선정했다. 전통자산 부문은 조재민대표가 맡는 복수(각자)대표체제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현승 대표 임기는 복수대표 체제를 감안해서 1년으로 정해졌다.

 

그 외 KB증권 윤경은/전병조KB손해보험 양종희KB캐피탈 박지우KB부동산신탁 정순일KB인베스트먼트 박충선KB신용정보 김해경등은 현재 대표이사가 후보로 재선정됐다. 재선정된 대표 임기는 1년이다.

 

상시지배구조위원회는 디지털 혁신 등 금융 트렌드 변화, 저성장 구조가 여전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KB의 상승세 지속을 위해서 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및 실행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대표이사 후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보유세 강화를 통한 ‘주택가격 안정화’의 허상
(조세금융신문=홍기용 인천대 명예교수, 전 한국세무학회장) 최근 정부는 “고가의 집을 보유하는 데 부담이 크면 집을 팔 것이고, 유동성이 생길 것”이라며 “재산세를 1% 메긴다고 치면, (집값이) 50억이면 1년에 5000만원씩 (보유세를) 내야”라며, 보유세 강화를 예고하는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부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때마다 보유세를 강화하는 세금대책을 반복적으로 내놓고 있다. 주택의 소유자들이 높은 보유세로 인하여 매물을 내놓아 주택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 논리를 무시한 ‘세금 만능주의’의 한계이며, 경제 현실을 너무 단순화하고, 지나친 정치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시장경제체제의 국가에서는 주택가격의 안정화 대책은 주택공급이 우선이고, 그 다음으로 규제와 세제를 보조수단으로 거론될 수 있다. 주택공급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지만, 주택가격 안정화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럼에도 단기간 세금정책으로 해결하려는 접근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택가격은 주택공급 이외에 금융, 인구 구조, 심지어 사회적 불안 심리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그동안 똘똘한 한 채 중심의 주택정책으로 인하여, 1세대 1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