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10.9℃
기상청 제공

은행

신한銀, 사회책임경영과 고객중심경영 2관왕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1위

 

신한은행 왕태욱 부행장(왼쪽 세번째)과 직원들이 지난 7일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열린 한국표준협회 주최 ‘2014 대한민국 지속가능성대회’에서 지속가능성지수(KSI) 은행부문 3년 연속 1위를 수상한 후 기념촬영하는 모습

(조세금융신문) 신한은행은 한국표준협회(KSA) 주최 ‘2014 대한민국 지속가능성대회’에서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지수(KSI, Korean Sustainability Index)’ 은행부문 3년 연속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0일(금) 밝혔다.

 

대한민국 지속가능성지수(KSI)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인 ISO 26000을 기반으로 기업의 사회적책임 이행수준과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사회적 책임 이행수준 측정모델이다.
 

이번 조사는 매출액?시장규모?지속가능경영 활동 등을 고려해 선정된 45개 업종의 169개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소비자, 지역사회, 주주, 협력사 등 3만4천여명의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들이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신한은행은 국내 금융업계 최초 사회책임보고서 발간, 이해관계자 소통을 위한 다양한 채널 운영,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 등 지속적인 사회책임경영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신한은행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주관하는 ‘2014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조사에서 은행부문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

 
신한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영업점 성과지표에 ‘소비자 보호지수’를 신설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은행의 서비스와 제도 등에 대한 개선 요구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소비자 보호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소비자 권익보호 강화를 위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활력있는 고객 응대를 위해 CS문화 캠페인 적극적으로 실시해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고객을 먼저 생각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신한은행의 따뜻한 금융 실천 노력이 높이 평가받아 지속가능성 지수 조사와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1위를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사랑받는 은행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보유세 강화를 통한 ‘주택가격 안정화’의 허상
(조세금융신문=홍기용 인천대 명예교수, 전 한국세무학회장) 최근 정부는 “고가의 집을 보유하는 데 부담이 크면 집을 팔 것이고, 유동성이 생길 것”이라며 “재산세를 1% 메긴다고 치면, (집값이) 50억이면 1년에 5000만원씩 (보유세를) 내야”라며, 보유세 강화를 예고하는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부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때마다 보유세를 강화하는 세금대책을 반복적으로 내놓고 있다. 주택의 소유자들이 높은 보유세로 인하여 매물을 내놓아 주택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 논리를 무시한 ‘세금 만능주의’의 한계이며, 경제 현실을 너무 단순화하고, 지나친 정치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시장경제체제의 국가에서는 주택가격의 안정화 대책은 주택공급이 우선이고, 그 다음으로 규제와 세제를 보조수단으로 거론될 수 있다. 주택공급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지만, 주택가격 안정화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럼에도 단기간 세금정책으로 해결하려는 접근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택가격은 주택공급 이외에 금융, 인구 구조, 심지어 사회적 불안 심리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그동안 똘똘한 한 채 중심의 주택정책으로 인하여, 1세대 1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