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1 (월)

  • 흐림동두천 4.5℃
  • 흐림강릉 9.1℃
  • 서울 8.1℃
  • 대전 11.0℃
  • 대구 13.2℃
  • 울산 13.2℃
  • 광주 13.6℃
  • 부산 14.2℃
  • 흐림고창 13.5℃
  • 흐림제주 17.7℃
  • 흐림강화 4.8℃
  • 흐림보은 12.1℃
  • 흐림금산 11.7℃
  • 흐림강진군 13.5℃
  • 흐림경주시 12.9℃
  • 흐림거제 14.9℃
기상청 제공

보험

"'위험 공사 하청' 건설대기업 3여년간 산재보험료 9천억원 이상 할인"

개별실적요율 산재보험 할인 사업장 총 16만3,354곳, 1조9천557억1천500만원
우원식 의원 "위험 외주화 해결하려면 개별실적요율제에 지속적 관심 필요"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건설대기업들이 위험한 공사를 하청에 떠넘긴 채 산재 보험료를 너무 많이 할인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 8월까지 2년 8개월 동안 개별실적요율에 따라 산재보험을 할인받은 사업장은 총 16만3천354곳으로, 할인 금액은 1조9천557억1천500만원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5만3천634곳(6천864억5천만원), 작년 5만4천426곳(7천39억9천500만원), 올해 1∼8월 5만5천294곳(5천652억7천만원)이다.

 

산재보험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과 함께 4대 보험으로, 근로자가 일하다가 다치면 사업주가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상해야 하는데, 이를 보험 처리하도록 한 제도다.

 

개별실적요율제는 사업장별로 산재 발생 정도에 따라 보험료를 할인 또는 할증해주는 제도다. 산재보험료 감면 혜택을 통해 사업주의 산재 예방 노력을 유인하는 게 제도의 취지다.

 

2년 8개월 동안 개별실적요율에 따라 대기업 총 2천461곳이 산재 보험료 9천60억1천만원을 할인받았다. 기업 수로는 전체의 1.5%에 불과한 대기업에서 전체의 46.3%를 할인받은 것이다.

 

조사 결과 건설대기업들이 특히 많은 산재 보험료를 감면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대기업들은 '위험의 외주화'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2년 8개월 동안 800억원 이상의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중대산업재해 143건을 살펴보면 원청에서 8건(5.6%), 하청에서 135건(94.4%)이 발생했다.

 

우 의원은 "산업재해가 적게 발생한 기업을 우대하기 위해 만들어진 산업재해보험료에 대한 개별실적요율제가 소수 대기업의 비용절감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 제기가 잇따르면서 지난해 3월 국회 본회의에서는 산재 발생에 원청 책임이 있는 경우 원청의 보험료를 할증하고, 재해 발생 빈도가 높은 대기업에 보험료 할인폭을 축소하는 내용의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개정안이 통과한 바 있다.

 

우 의원은 "관련 법이 개정돼 올해부터 시행되긴 했지만 위험의 외주화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종규 칼럼] 국세청의 혁신세정 ‘명암’
(조세금융신문=김종규 본지 논설고문 겸 대기자) 과세권자와 납세자는 조세법적 채권, 채무 계약 관계다. 사유재산에 대한 세무 조사권 행사가 가능한 과세권자는, 그래서 세금 부과를 당하는 납세자와 서로 다르다. 받는 자와 내는 자가 뿌리 박힌 종속 관계를 형성해 온 세정사적 사실 때문일까. 과세권자가 세정현장에서 이른바 갑질을 자행하려는 경향이 짙었던 해묵은 ‘갑질 경험칙’을 말끔히 지우기에는 아직도 거리감을 남긴다. 수직관계가 더 익숙했던 세정관습을 지금껏 탈피 못 한 건지 긴가민가하다. 서로 다른 인식 차이가 빚은 오해와 진실은 세무조사 현장에서 종종 불거지는 다툼이다. 납세자는 사유재산을 어떻게든 지키려는 합법적 절세의 지략을 아끼지 않을 것이고, 과세권자는 재정조달이라는 대의명분과 공권력을 앞세워 공적인 세무조사권 강화를 주저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칼자루를 쥔 과세권자의 관료적인 군림과 권위주의적 작태가 어쩌면 만연했을 것이다. 세수 제일주의 시대의 추계과세 행정은 말 그대로 극치였기에, 아마도 그리했으리라고 어렵지 않게 짐작이 간다. 사실 납세자 중심 세정을 주창하고 실행에 옮긴 지는 꽤 오래다. 남덕우 재무부장관 재임 때다. 직제를 변경, 세정
[인터뷰] 정균태 한국청년세무사회장 '국제교류 방점 찍다'
(조세금융신문=김영기 기자) 한국청년세무사회(이하 한청세) 제4대 회장으로 취임한 정균태 회장이 취임 6개월을 지나 7개월을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불철주야 바쁜일정을 보내고 있는 정균태 회장을 어렵게 조찬 인터뷰를 통해 만나 봤다. 안녕하십니까? 회장님, 조찬 인터뷰에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우선, 회장 취임 후 어떻게 지내셨는지 근황이 궁금합니다. 지난 4월 말 취임 이후, 5월~6월 종합소득세 신고, 7월 사무실 워크숍에 휴가 등으로 시간이 금방 지나갔습니다. 특히 10월 베트남 국제교류(동라이세무당국, 코참) 준비로 시간이 더욱 빨리 지나간 듯 합니다. 베트남 국제교류는 처음 진행한 행사고, 베트남이 공산국가라 세무당국 허락 및 코참 청년기업가 협의회의 일정 및 의견교환이 녹록지는 않았습니다. 다행히 베트남 일정을 무사히 그리고 성대하게 대접받고 왔습니다. 따라서 계속적인 교류를 위해서 12월에도 소수 회장단만으로 다녀올 예정입니다. 그리고 제가 한국청년세무사회 회장직 뿐만 아니라, 김정훈 역삼지역세무사회 간사를 맡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빛처럼 빠르게 지나가고 있습니다. 집행부 면면을 소개해 주신다면. 한국청년세무사회(이하 ‘한청세’)의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