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200만5520명이 암환자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불과 1년 전인 2017년에 비해 14만명이나 늘어난 수치로 국민 25명 중 1명이 암환자인 셈이다. 해마다 암 발병 연령대마저 낮아지는 상황 속에서 국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건강검진 및 암검진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문제는 건강검진과 암 검진을 제 시기에 받지 않고 차일피일 미루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19의 감염 우려가 높았던 지난 해에는 10월까지의 수검률이 겨우 43%에 불과했고 국가암검진은 이보다 낮은 32% 수준에 그쳤다. 결국 정부 당국에서는 지난 해 건강검진 대상자들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기간을 올해 6월까지 연장하는 초강수를 두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국가 건강검진은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2년에 1회씩 받도록 되어 있다. 혈압, 체중과 키 측정(비만도), 혈액 및 소변검사(A형, B형 간염 및 간기능 검사, 고지혈증, 당뇨, 빈혈, 신장 기능 등), 흉부 X-선(결핵 등) 등을 기본적으로 검사하며 연령과 성별에 맞추어 국가 암 검진도 추가로 진행한다. 40세 이상의 남녀는 위암 검사를 2년에
화서동에 거주하는 30대 장미영(가명. 여성)씨는 요즘 마스크를 착용하며 생겨난 여드름 때문에 고민이 깊어졌다. 울긋불긋 두드러지는 여드름은 마스크 속의 축축한 공기로 인해 점점 더 악화되고 이러다가 여드름 흉터라도 생기는 것이 아닌지 걱정되기 시작한 것이다. 여드름에 좋다는 화장품도 사용해보고 평소보다 더욱 철저하게 세안에도 신경을 썼지만 답을 찾지 못한 장씨는 결국 인근 피부과를 방문해 치료를 받기로 결정 했다. 여드름은 유독 ‘청소년의 질환’으로 인식되지만 연령을 떠나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피부질환이다.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라 기대하기도 하나 여드름의 발생 원인과 유형이 제각기 다르므로 섣불리 여드름을 제거하려 들거나 방치해선 안 된다. 특히 위생적이지 못한 환경에서 여드름을 제거할 경우, 감염이 발생해 여드름이 더욱 악화되거나 영구적인 여드름 흉터가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초기 여드름은 단순히 모낭 속에 피지가 고여 있는 형태이지만 이 상태에서 여드름 균이 번식하거나 각종 세균에 감염된다면 염증이 발생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 여드름의 색도 붉게 변하여 눈에 거슬리게 되며 더욱 발전할 경우, 고름이 차고 부어 오르는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탑승하면 남녀노소 누구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다. 이용하는 시간은 물론 업무 시간이나 교육, 학습, 여가, 휴식에 이르기까지 현대인에게 스마트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문제는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신체에 부담을 주어 각종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추, 즉 목 부위의 이상이나 손목통증 등은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개를 아래로 숙이거나 앞으로 쭉 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본래 C자 형태인 경추의 모양이 변형되면서 일자 형태로 펴지게 되고 어깨가 안으로 굽으며 목이 튀어나오는 일명 ‘거북목 증후군’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변형은 겉으로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추에 가해지는 머리의 무게가 고루 분산되지 못해 목디스크 등 추가적인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스마트폰의 무게를 견디며 한 손으로 조작을 해야 하는 탓에 손목 내부의 근육이나 조직이 손상되기 쉽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조작할 때에는 평상시 자주 사용하는 손을 쓰게 되는데 이미 일상 생활
따뜻한 봄을 맞이해 등산 등 야외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났다. 적당한 강도의 야외 활동은 신체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지만 자신의 능력을 간과한 채 무리하게 진행하다가 심각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특히 무릎에 부담이 많이 가해지는 활동을 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이 가속화되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염두에 두고 활동량을 조금씩 늘려가야 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말 그대로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손목, 어깨, 발목 등 관절 부위라면 어디에든 발병할 수 있지만 사용량이 많고 부담이 큰 탓에 주로 무릎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우리 신체는 30세 이상부터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중장년층 이상의 환자가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지속적인 외상, 잘못된 자세로 인한 체형 변화 등으로 인해 퇴행성 관절염 발병 연령이 낮아지는 추세이므로 젊다는 이유로 방심해선 안 된다. 퇴행성 관절염은 증상에 따라 단계를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등 무릎에 부담을 주는 행동을 할 때 시큰거리는 통증이 나타난다. 유독 무릎 안쪽이 시린 느낌이 들고 다리를 겹쳐 앉는 자세를 취하면 통증이 더욱 악화
최근 안과에서 렌즈삽입술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과거 초고도근시, 난시 환자들은 라식, 라섹으로 시력교정을 받는 것이 불가능했으나 렌즈 품질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렌즈삽입술을 적극 활용해 좋은 시력을 얻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흔히 ‘안내렌즈삽입술(Implantable Contact Lens implant surgery)’ 또는 ‘ICL’이라고 줄여 부르는 렌즈삽입술은 일정한 도수의 투명렌즈를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이다. 기존 라식, 라섹, 최근 많이 시행하는 스마일라식 수술 등과 달리 레이저를 사용하지 않아 각막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시력을 회복할 수 있어 각막이 너무 얇거나 고도근시, 고도난시 때문에 많은 양의 각막을 깎아야 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안내렌즈삽입술은 수술 후 회복이 빠른 것은 물론 시력의 질 또한 우수하다. 또한 라식라섹의 부작용인 안구건조증이나 빛번짐, 야간눈부심 등도 적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 큰 불편함도 없다. 간혹 불편함이 느껴지거나 문제가 생기더라도 렌즈를 제거한다면 이전의 상태로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안내렌즈삽입술에 사용되는 렌즈 종류는 ICL, TICL(난시교정), 에코렌즈 등 매우 다양하
용산에 거주하는 50대 A씨는 최근 지인들과 함께 산을 찾았다. 매섭던 겨울 추위가 물러가고 봄바람이 불어오면서 색색의 꽃들이 산을 수놓아 이를 구경하러 나선 것이다. 꽃구경을 마치고 인근 맛집까지 찾아가 즐거운 시간을 보내려던 A씨는 산에서 내려오던 중, 발을 삐끗하는 바람에 그대로 병원에 직행해야만 했다. 최근 A씨처럼 발목을 삐어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다. 건강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발목 염좌 환자는 2월에 11만 3,863명을 기록하며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해 5월에는 18만 4,710명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다. 등산이나 스포츠 등 야외 활등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발목 염좌가 발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한 것이다. 발목 염좌는 쉽게 발목의 인대가 손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인대가 늘어난 정도부터 아예 파열된 상태까지 손상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나눌 수 있다. 거골의 전위가 정상에 비해 10도 이상 차이가 나거나 전/후/종비의 인대 거골의 전위가 정상에 비해 30도 이상 차이가 날 때 발목염좌가 심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미한 수준의 발목 염좌라면 안정을 취하며 냉찜질을 하고 압박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손발톱무좀은 곰팡이의 일종인 피부사상균이 손톱과 발톱의 각질을 먹고 번식하는 질환이다. 덥고 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피부사상균의 특성 탓에 여름이 가까워 올수록 손발톱무좀도 기승을 부린다. 초기에는 손발톱의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손발톱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갈라지는 등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변화가 두드러진다. 갑자기 손발톱의 색상이 황색이나 백색, 암적색, 황갈색 등으로 변하거나 손톱 주변의 살이 하얗게 일어난다면 손발톱무좀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증상이 진행되면 가려움증과 함께 손발톱의 변형이 심해지며 손톱과 발톱이 주위 살을 파고 드는 등 심각한 변형이 일어나 통증을 유발한다. 내성발톱 등으로 인해 주변 살에 염증이 발생하고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다면 악취, 고통이 동반되어 일상 생활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손발톱무좀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람들은 약국에서 판매하는 바르는 약 등을 이용해 자가 치료를 하려 한다. 이러한 약은 손발톱 표면에만 피부사상균이 퍼져 있을 때 효과적이지만 이미 증상이 진행된 상황이라면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일시적으로 호전 되었다가도 금방 다시 재발할 수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해 진단과 처방을 받아 피부사상균의 뿌리를 뽑아야
집에서 스스로 운동을 하는 일명 ‘홈트레이닝’은 코로나19로 헬스장, 체육관 등 운동시설을 찾기 어려운 요즘, 자기 관리에 투철한 이들 사이에서 인기다. 유튜브 등 SNS에 올라온 전문가들의 영상을 보며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데다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그러나 운동 초보자들은 자칫 잘못된 자세를 취해 엉뚱한 부위를 자극하거나 심지어 부상을 입을 수 있어 홈트레이닝을 시도할 때 주의해야 한다. 자신의 신체 능력을 넘어서는 수준의 동작이나 고강도의 운동을 할 경우 스포츠손상을 입기 쉽다. 따라서 다치지 않게,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홈트레이닝을 진행해야 한다.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본격적인 운동을 시작하기 전 20분 이상 충분한 시간을 들여 스트레칭을 해 주는 편이 바람직하다. 일상 생활 속에서 사용하지 않아 경직된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켜 몸의 유연성을 증진하며 혈액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스트레칭을 통해 충분히 풀어준 몸은 그렇지 않은 몸에 비해 운동 중 부상을 입을 확률이 80%나 줄어든다. 또한 자신의 몸 상태를 살펴보고 이를 고려하여 적합
현재 치과의 대표적인 치료로 꼽히는 임플란트는 다양한 시술방식이 고안되고 치과들의 시술경험도 축적되면서 시술에 대한 안전성도 높아지고 있고 그만큼 환자 만족도도 높은 상태다. 하지만 모든 임플란트 환자들이 만족스런 결과를 가질 수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임플란트 시술 후 문제가 생겨 다시 수술을 받는 임플란트 재수술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 재수술이 필요한 대표적인 현상 및 사유를 살펴보면 매식체 탈락 및 파손, 보철물의 탈락 및 파손, 담당 치과의사의 숙련도 부족, 재료의 문제 등 다양하다. 환자의 임플란트 관리 소홀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됐는데 이를 모르고 방치하다 심화된다거나, 과도한 교합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재수술이 필요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흡연 등으로 임플란트 골융합이 잘 되지 않았다거나,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씹다가 임플란트 부위가 손상된 경우라면 특히 재수술로 임플란트를 다시 복구시켜야 하므로 이런 상태라면 수술 받은 치과를 서둘러 방문해야 한다. 임플란트 재수술은 기존 임플란트를 제거한 후 새로운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기 때문에 처음 임플란트 시술을 받았을 때보다 더욱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다. 수술 자체도 까다로워
소건막류는 폭이 좁거나 맞지 않은 신발을 신어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에 다섯 번째 발가락이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제 5 중족-족지 관절이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튀어 나오게 되는 질환이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전체 변형 중 50~80%에서 가족 중에 무지외반증이 있다. 유전적인 요인이 없이도 선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주로 초등학교 졸업을 전후로 나타나게 된다. 소건막류는 일반적으로 하이힐, 샌들이나 앞이 뾰족한 신발을 즐겨 신는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지만, 구두를 자주 신는 남성도 예외는 아니다. 상대적으로 편안한 신발을 신는 남성도 키높이 깔창 때문에 신발 뒤굽이 앞굽보다 3cm이상 높은 신발을 오래 신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앞부분이 좁거나 뒷굽이 높은 신발을 신고 걷게 되면 자연히 새끼발가락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대부분 환자에서 이러한 돌출 부위가 신발에 부딪히면서 통증이 유발하게 된다. 특히 발에 꽉 끼는 신발을 오래 신고 서 있거나 걷는 일을 할 때 쉽게 통증이 악화된다. 높은 굽의 신발을 신지 않더라도 유난히 새끼발가락이 아프고 빨갛게 변하거나 발바닥에 굳은살이 생긴다면 소건막류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육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