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 우리은행 매각 방안이 ‘공적자금 회수’에 빙점을 찍으면서 실패할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공적자금위원회는 23일 정부가 우리은행 지분 56.97%를 ‘경영권 지분(30%)’과 ‘10% 이하 소수 지분(총 26.97%)’ 등 나눠 매각하는 ‘투트랩’ 방식의 매각방안을 발표했다.
공자위가 내놓은 ‘투트랙 매각안’ 가운데 ‘경영권 지분’(30%) 가격은 현재 2조 5000억원 수준이다. 공적자금 100% 회수를 위해선 경영권 프리미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의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고려하면 입찰가가 최소 3조원을 웃돌 전망이다.
하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정부가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팔려고 하는데, 30% 지분을 살 수 있는 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민영화는 지난 정권에서도 세 차례 시도됐지만 모두 불발됐다. 거대 매물을 사들일 만한 마땅한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거나, 정치권에서 일부 금융사에 대한 특혜 시비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경영권 매각을 위한 입찰이 성사되려면 최소 두 곳 이상이 참여하는 유효경쟁이 필요하지만 현재로선 교보생명만 인수전에 뛰어들 예정이어서 성사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금융시장에서 한국투자, 미래에셋, KB금융, 신한금융, 하나금융 등과 일부 사모펀드(PEF) 등이 잠재적 후보로 거론되고 있지만 시너지를 기대하기 힘들고 인수 여력도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인수 의사를 밝힌 교보생명도 자회사에 대한 투자 한도를 정해놓은 보험업법 규정 때문에 자체 조달할 수 있는 인수 자금이 1조3000억 원에 불과하다.
금융권은 우리은행 매각이 성공보다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외국계 사모펀드도 원칙적으로는 인수전에 참여할 수 있지만 ‘론스타’가 인수한 외환은행 매각시 ‘먹튀’ 논란이 많았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국민정서를 극복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상용 금융위 공적자금관리위원장도 이를 의식한 듯 "유효 경쟁의 가능성을 장담할 수 없다. 현재 한 그룹이 인수 희망을 표시한 상태이지만 향후 6개월 동안 다른 기업이 등장할 확률을 판단하기 어렵다"며 “30% 지분 매각이 유찰되면 다시 경영권 입찰을 할지, 소수 입찰로 전환할지는 그때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