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강릉 30.1℃
기상청 제공

‘클리오 돌풍’ 출시 열흘 만에 756대 판매

올해 국내 소형차 부문 월간 최고 판매량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르노삼성자동차는 지난달 출시한 르노 클리오가 고객인도 영업일 10일 만에 756대가 팔렸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올해 국내 소형차 부문에서 월간 최고 판매 기록이다.

 

앞서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월별 소형차 판매량 기록으로는 지난 3월 현대자동차의 엑센트가 574대, 지난달에는 한국GM의 볼트 EV가 1014대를 판매한 바 있다. 정부 보조금 지원 등과 같은 판매 특수성이 있는 전기차를 제외하면 클리오가 출시 첫 달 소형차 판매 1위에 등극하면서 흥행몰이에 성공한 것이다.

 

르노 클리오는 전 세계에서 약 1400만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링 모델로 검증된 5세대 1.5 dCi 엔진과 독일 게트락 6단 DCT의 조합을 통해 17.7km/ℓ의 연비를 제공한다.

 

또 LED 퓨어 비전 헤드램프와 3D 타입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보스(BOSE)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후방카메라, 전방 경보장치 등 고급 사양이 기본 적용됐다. 300ℓ에 달하는 트렁크 공간은 2열을 모두 접었을 때 최대 1146ℓ까지 확장된다.

 

아울러 클리오는 프랑스 현지에서 판매되는 인텐스(INTENS) 트림에 동일한 선택사양과 비교할 때 약 1000만원 가량 낮게 책정됐다.

 

이밖에도 해외에서 생산돼 국내 판매되는 수입차임에도 불구하고 르노삼성자동차의 전국 230여개 판매 전시장과 470여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판매와 모든 정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르노삼성자동차는 공격적인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이달 중 르노 브랜드 e-스토어에서 클리오 온라인 견적 상담 및 청약, 출고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애플 아이패드 프로 10.5 및 애플 펜슬(10명), 스타벅스 커피 e-기프트 카드 3만원권(200명)을 증정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