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3 (화)

  • 맑음동두천 13.8℃
  • 구름조금강릉 16.5℃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3.9℃
  • 구름조금대구 16.1℃
  • 구름많음울산 17.1℃
  • 맑음광주 15.7℃
  • 맑음부산 19.3℃
  • 맑음고창 13.4℃
  • 흐림제주 21.3℃
  • 구름조금강화 14.3℃
  • 맑음보은 12.1℃
  • 맑음금산 11.2℃
  • 맑음강진군 15.5℃
  • 구름많음경주시 16.4℃
  • 흐림거제 16.9℃
기상청 제공

카드 · 제2금융

카드사 리볼빙, 매월 1천억원씩 늘다가 지난달 138억원만 증가…배경은

금융당국 리볼빙 서비스 이용자 대상 설명의무 강화 영향인 듯
카드사 현금서비스도 지난해 12월 이후 감소세 이어가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신용도에 따라 최대 19%의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카드사 리볼빙 서비스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신한,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 하나, BC, NH농협카드 등 9개 카드사 결제성 리볼빙 이월 잔액이 전월 대비 138억원(0.19%) 늘어난 7조380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한 해 동안 리볼빙 잔액이 1조2057억원 증가하며 월 평균 1000억원씩 급증한 것과 비교해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됐다.

 

리볼빙 잔액 증가액은 지난해 4분기부터 증가폭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지난해 11월 1393억원에서 12월 477억원으로 반토막 수준으로 줄었고, 올해 1월에는 160억원을 기록하며 증가 속도가 점차 줄고 있다.

 

결제성 리볼빙이란 신용카드 일시불로 물건을 구매한 다음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결제대금 중 일부를 연체 없이 상환,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신용도에 따라 12~19%에 달하는 높은 이자를 부담해야 한다. 장기간 이용 시 신용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두고 업계 안팎에선 지난해 11월부터 금융당국이 리볼빙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명 의무를 강화하는 대책을 내놓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9개 신용카드사의 개인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도 지난해 12월 이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개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잔액은 지난 2월 말 현재 6조5320억원으로 전월 대비 1333억원 감소했다.

 

이들 카드사에서 현금서비스가 줄어든 것은 지난해 하반기 자금시장 경색과 건전성 관리 강화 기조로 대출에 소극적이었던 카드사들이 대출 문턱을 낮춘 영향으로 파악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조금만필] '낡은 대못' 뽑겠다는 尹, 골프장 중과제도는 왜 폐기 안 하나
(조세금융신문=박완규 논설위원) 이른바 ‘부의 상징’으로 여겨 별장에 부과하던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 제도가 50년만에 폐지됐다. 별장에 대한 중과 제도는 소수 부유층의 사치성 소비를 막아 사회 안정과 질서유지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로 설계됐다. 이후 고도성장과 더불어 국민소득이 늘고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별장은 더 이상 소수 부유층의 사치재가 아니라 중산층이라면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세컨드 하우스’로 성격이 바뀌었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별장에 대한 중과 제도도 반세기만에 폐기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당시 정부가 같은 목적으로 만든 중과 제도가 또 있다. 바로 회원제 골프장에 대한 중과세 그것이다. 회원제 골프장이 취득·보유하는 부동산에 대해선 취득세·재산세가 중과되는데, 세율은 각각 12%, 4%에 달한다. 매년 재산세가 부과된다는 점에서 골프장 운영 이후 몇 년 만에 투자 원금이 잠식될 정도로 상당히 무거운 세금인데, 이에 더해 이용객의 입장에 대해 개별소비세·농어촌특별세·교육세·부가가치세까지 물어야한다. 역시 군사정부 시절 골프가 소수 부유층의 사치라는 인식 하에 만든 제도인데, 지금도 골프가 소수 부유층만의 사치 행위일까. 대한골프협회가 올 1
[인터뷰] 팔꿈치 절단 딛고 '요식업계 큰손 등극'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무더운 여름을 지내면서 몸에 좋다는 여러 보양식을 찾게 된다. 장어도 그중 하나다. 부천에서 꽤 많은 손님이 찾는 ‘백세장어마을’은 상동 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앞에 자리하고 있다. 평일 점심에도 꽤 많은 손님이 이곳을 찾고 있었다. 사업가 윤명환 대표 이야기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는 현재 7년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전 창업자가 5년간 운영한 것을 이어받았으니 합치면 12년째다. 이곳뿐 아니다. 같은 웅진플레이도시 내에 자리한 중식집 ‘The 차이나’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삼산동에는 고깃집 ‘백세미소가’를 창업해 현재 아들이 운영을 맡고 있다. 요식업계에 발을 디딘 지는 벌써 16년째다. “요식업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70%는 망하고, 20%는 밥벌이 정도 하고, 10%는 성공한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 걸 보면 윤 대표는 요식업계에서 나름 성공한 CEO다. 처음 요식업을 시작한 것은 한창 한일월드컵으로 ‘대한민국~’을 외치던 2002년이다. 윤 대표는 당시 매우 절박한 마음으로 요식업계에 첫발을 내밀었다. 이전에 큰돈을 모아 투자했던 의료사업에서 실패한 이후다. 처음에는 직장인으로 출발했다. 인천전문대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