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 우리나라 주식시장 공매도 거래 중에서 외국인의 비중이 70% 이상이고, 주가가 하락할수록 이득을 보는 공매도 거래의 특성을 활용해 하한가 종목에서 집중적으로 공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의원(광주 북갑)은 한국거래소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의 공매도 비중은 지난 5년간 78.1%(146조 8,093억)으로 기관 17%(32조 417억), 개인 4.8%(8조 9,371)에 비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도별로 외국인은 2010년 82.5%(27조 4,391억), 2011년 82.7%(27조 2,097억), 2012년 79.1%(31조 72억), 2013년 75.1%(32조 578억), 2014년 78.1%(29조 955억)으로 해마다 외국인의 공매비중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금액은 오히려 늘었다.
또한 한국거래소가 제출한 ‘2014년 2일 이상 하한가인 공매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외국인이 100% 공매한 종목은 전체 43개 종목 중 22개로, 코스피 7개, 코스닥 15개 종목이었다.
구체적으로 코스피 종목 중 2일 이상 하한가 외국인 100% 공매도 종목은, 동양? 로케트전기 ? 범양건영 ? 우리들제약 ? 유니켐 ? 팬오션 ? 한신공영 등이었고, 90%이상인 종목도 남광토건 ? 디올메디바이오 ? 이월드 등 3종목이었다.
코스닥 종목 중 2일 이상 하한가 외국인 100% 공매도 종목은 CU 전자, 대성엘텍, 대한뉴팜.베리타스, 엠제이비,영진코퍼레이션, 와이즈파워, 위지트, 유니드코리아. 자연과환경, 케이디씨, 케이엘티, 케이엠알앤씨, 프럼파스트, 행남자기, 홈캐스트였다. 90% 이상 종목은 디지텍시스템, 비아이이엠티, 신양, 씨앤케이인터, 조이맥스. 하이셀, 현대아이비티 등 7개 종목이었다.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는 지난 8월 13일, 증시 가격제한폭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공매도에 따른 가격하락 우려가 매우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강기정 의원은 “금융당국은 2013년 11월에 투자자별 공매도 잔고 공시제도 도입 등 공매도제도 개선 대책을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이뤄진 것은 없다”면서 “투자자별 공시제도를 포함해 외국인 공매도를 제한할 수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