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구름조금강릉 27.3℃
기상청 제공

3박자 갖추면 청약경쟁률 높아져…평균 100대 1

낮은 분양가·역세권 입지·많은 청약 기회 등 인기조건
올해 평균 청약경쟁률 1위 ‘동탄역 유림노르웨이숲’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수도권에서 낮은 분양가와 역세권 입지, 보다 많은 청약기회 등 3박자를 갖춘 단지는 청약경쟁률이 100대 1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이 올해 청약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에서 평균 청약경쟁률이 100대 1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록 단지는 동탄역 유림노르웨이숲 184.61대 1과 동탄역 예미지 3차 106.81대 1, 미사역 파라곤 104.91대 1 등 세 곳이다.

 

우선 이 단지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기존 거래가격보다 분양가격이 낮았다. 동탄역 유림노르웨이숲과 동탄역 예미지3차 분양가격은 평균 3.3㎡당 각각 1354만원, 1422만원 선이었다. 올해 1분기 3.3㎡당 평균 1514마원에 거래됐다. 기존 거래가격보다 분양가격이 3.3㎡당 90만원에서 160만원 가량 낮았다.

 

미사역 파라곤 역시 주변시세 대비 분양가격이 낮았다. 미사역 파라곤의 3.3㎡당 분양가격은 평균 1448만원선으로 인근 망월동의 미사강변도시 아파트 거래가 보다 541만원 더 낮았다.

 

모두 분양권 전매금지로 당첨 직후 팔 수는 없지만 기존 아파트 대비 높은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에 이 같은 기록을 보여준 것으로 직방은 분석했다.

 

또 이들 단지 모두 신흥 역세권 예정지로 교통여건 개선에 따른 기대가 높은 입지라는 공통점을 가졌다. 동탄역 유림노르웨이숲과 동탄역 예미지3차가 위치한 동탄역은 수서발 고속철도(SRT)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예정), 인덕원선(예정) 등이 지나는 동탄역 복합환승센터가 도보권이다. 미사역 파라곤은 지하철 5호선 연장으로 역세권 단지에 포함됐다.

 

상대적으로 청약의 기회가 많았다. 이들 모두 수도권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로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거주민(30%)이 아니더라도 경기도(20%)와 나머지 수도권인 서울·인천(50%) 거주자에게 청약 기회가 주어졌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보증심사 강화를 통해 실질적으로 분양가 책정을 제한하면서 주변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분양되자 상대적으로 시세차익이 높은 수도권 청약시장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에서는 강남지역 재건축과 도심지역을 재개발한 일반분양 등이 연내 분양을 목표로 진행 중이며 경기지역에서는 위례신도시, 판교 대장지구 등 택지지구 분양도 예정돼 있다. 인천에서는 검단신도시 분양이 이어진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