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강릉 10.9℃
  • 맑음서울 7.6℃
기상청 제공

[2022 세법시행령] 반도체‧배터리‧백신…베일벗은 국가전략기술 34개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세법에서 위임된 국가전략기술 세부범위가 공개됐다.

 

기획재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2022 세법시행령 개정안을 6일 발표했다.

 

반도체는 메모리의 경우 15나노미터 이하급 D램 및 170단이상 낸드플래시 설계·제조기술, 차세대 메모리반도체(STT-MRAM, PRAM, ReRAM) 제조기술이 지원대상으로 지정됐다.

 

시스템 반도체는 고속컴퓨팅을 위한 SoC 설계 및 제조(7나노미터 이하) 기술, -차량용·에너지효율향상·전력반도체·DDI칩 설계·제조기술 등이 지정됐다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에서는 반도체용(15nm이하 D램, 170단이상 낸드 등) 웨이퍼 개발·제조기술, 첨단·차세대 메모리반도체 소재·장비·장비부품 설계·제조기술 등이 꼽혔다.

 

배터리 부문에서는 상용배터리의 고에너지밀도·고출력·장수명 고성능 리튬이차전지 제조 기술, 사용 후 배터리의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기술 등이 정해졌다.

 

차세대 이차전지에서는 초고성능 전극 또는 고체전해질 기반 차세대 이차전지 제조 기술이, 배터리 소재·부품에서는 고용량 양극재(니켈함량 80%이상), 장수명 음극재(충방전 1,000회 이상) 제조 기술 그리고 전지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분리막·전해액 제조 기술 등이 지정됐다.

 

백신 개발·생산의 경우 항원, 핵산, 바이러스벡터 등 방어물질을 적용한 백신 제조기술이 적용받으며, 백신 시험의 경우 세포·동물 모델로 백신 후보물질을 평가하는 비임상 시험 기술과 백신 후보물질의 임상 1상·2상·3상 시험 기술이 지원대상이 된다.

 

백신 원·부자재에서는 백신 개발·제조에 필요한 원료·원부자재 및 면역보조제 개발·제조기술, 백신 및 백신 원료·원부자재 장비 개발·제조기술이 적용된다.

 

국가전략기술은 총 34개 기술로 반도체 20개, 이차전지 9개, 백신 5개다.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비로는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업무에 전담하는 연구원은 물론 이들의 연구개발업무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사람 인건비까지 연구개발비로 인정받는다.

 

재료비는 견본품·부품·원재료·시약류 구입비가 인정받으며,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기관의 위탁비용 또는 이들 기관과 공동연구개발 비용도 연구개발비에 포함된다.

 

신성장·원천기술 R&D, 국가전략기술 R&D, 일반R&D는 각각 구분경리해야 하고, 이것이 서로 공통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연구인력 비중에 따라 안분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보유세 강화를 통한 ‘주택가격 안정화’의 허상
(조세금융신문=홍기용 인천대 명예교수, 전 한국세무학회장) 최근 정부는 “고가의 집을 보유하는 데 부담이 크면 집을 팔 것이고, 유동성이 생길 것”이라며 “재산세를 1% 메긴다고 치면, (집값이) 50억이면 1년에 5000만원씩 (보유세를) 내야”라며, 보유세 강화를 예고하는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부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때마다 보유세를 강화하는 세금대책을 반복적으로 내놓고 있다. 주택의 소유자들이 높은 보유세로 인하여 매물을 내놓아 주택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 논리를 무시한 ‘세금 만능주의’의 한계이며, 경제 현실을 너무 단순화하고, 지나친 정치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시장경제체제의 국가에서는 주택가격의 안정화 대책은 주택공급이 우선이고, 그 다음으로 규제와 세제를 보조수단으로 거론될 수 있다. 주택공급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지만, 주택가격 안정화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럼에도 단기간 세금정책으로 해결하려는 접근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택가격은 주택공급 이외에 금융, 인구 구조, 심지어 사회적 불안 심리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그동안 똘똘한 한 채 중심의 주택정책으로 인하여, 1세대 1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