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메타 스레드 월간 이용자 1억7천500만명…저커버그 "멋진 한해"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이 SNS 플랫폼 엑스(X·옛 트위터)를 겨냥해 출시한 스레드(Threads)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1년 만에 2억 명에 육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스레드 출시 1년을 이틀 앞둔 3일(현지시간) 자신의 스레드 계정에 "스레드의 MAU가 1억7천500만명을 넘었다"며 "지난 1년은 멋진 한 해(What a year)였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지난해 7월 엑스의 대항마를 출시하며 출시된 지 1년 만이다. 텍스트 기반의 스레드는 출시 5일 만에 가입자가 1억명을 돌파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이후 여러 기능 부족 등으로 인기가 시들해졌다가 이후 기능을 추가하면서 서서히 이용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

 

작년 3분기 월간 활성 이용자 수가 1억명을 돌파한 이후 4분기에는 1억3천만명 올해 1분기에는 1억5천만명으로 늘어났다.

 

작년 12월에는 출시 5개월 만에 '페디버스'(fediverse)라는 기능을 탑재해 유럽에도 선보였다.

 

페디버스는 이는 액티비티 펍(Activity Pub)이라는 프로토콜을 활용해 다른 SNS와도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스레드의 MAU는 엑스에는 아직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엑스는 지난 3월 MAU가 5억5천만명에 이른다고 밝힌 바 있다. 스레드의 MAU는 엑스의 3분의 1 수준이다.

 

엑스는 일일 활성 이용자 수(DAU)도 2억5천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스레드는 DAU는 밝히지 않았다.

 

저커버그 CEO는 다만, 지난 4월 투자자들에게 "스레드의 성장은 대체로 내가 바라던 궤도를 가고 있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