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보험

금감원, 즉시연금 ‘시효 중단’ 희망자에 분쟁조정 신청 권고

소송장기화 대비 신청 필요…최종판결까지 분쟁처리 보류 예정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내 즉시연금 전용코너 [사진=금융감독원]
▲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내 즉시연금 전용코너 [사진=금융감독원]

 

(조세금융신문=이기욱 기자) 금융감독원이 미지급금 소멸시효 중단을 원하는 즉시연금 가입자에게 금융감독원 분쟁조정 신청을 권고하고 나섰다.

 

금감원은 오는 5일부터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에 즉시연금 전용코너를 신설한다고 4일 밝혔다. 금감원은 전용 코너에서 즉시연금의 개요와 분쟁조정사례, FAQ 등을 안내하고 분쟁조정을 접수할 예정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는 만기보험금 지급 재원 공제 관련 사항이 즉시연금약관에 기재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만기보험금 지급 재원 제하지 않은 금액을 연금으로 지급하도록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일부 보험사는 소송을 통해서 법원의 판단을 받은 후 즉시연금 추가지급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금감원에 분쟁조정을 신청하면 관계 법령에 의해 소멸시효가 중단되는 효력이 있다”며 “즉시연금 계약자는 소송이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해서 금감원에 분쟁조정을 신청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다만 금감원에서는 분쟁조정신청을 접수받은 후 소멸시효 중단효력을 유지하기 위해 최종판결시까지 분쟁처리를 보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