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은행

KB국민은행, KT와 동산담보 사후관리 플랫폼 구축

IoT기반 올인원 자동관제…긴급 상황 발생시 KT텔레캅 현장 조치

(조세금융신문=이기욱 기자) KB국민은행이 KT와 동산금융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국민은행은 2일 KT와 NB-IoT(Narrow Band IoT) 기술을 활용해 동산담보 자동관제 플랫폼인 ‘KB PIM(Personal property Intelligent Maintenance-platform)’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국민은행 메인시스템과 플랫폼의 연동 개발을 조기 완료하고 연내에 KB PIM을 출시할 방침이다.

 

KB PIM은 NB-IoT(협대역-사물인터넷) 기반 올인원 동산담보 자동관제 플랫폼으로 현장실사 없이 동산담보물의 위치와 가동 여부 등의 관리 상태를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담보물 위치 이탈 또는 훼손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KT의 그룹사인 KT텔레캅에서 긴급 출동과 현장조치를 할 수도 있다.

 

동산담보물에 대한 사후관리 자동화를 구현함에 따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동산담보 금융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은행은 동산담보물의 도난이나 훼손, 임의 매각 등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후관리에 대한 부담이 완화되고 담보안정성도 강화할 수 있다.

 

국민은행은 “최신 NB-IoT기반 동산담보 자동관제 플랫폼 ‘KB PIM’ 구축을 바탕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동산금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