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고령임신•출산 분야 다방면의 노하우로 희망을
최근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혼인율과 출산율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삶의 환경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만들어낸 결코 달갑지만은 않은 현상으로 지적된다. 여기에 더해 결혼적령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언제부턴가 만혼(晩㛰)이 일상화 되어가고 있다. 통상적으로 30대 후반 남녀의 혼인을 만혼이라 일컫는데, 이 경우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가임기간이 줄어드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렇듯 일반화된 만혼과 저출산 기조는 역설적이게도 40대 여성의 출산율을 역대 최고치로 만들고 있다. 고령임신과 노산을 걱정하는 부부가 많아질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고령임신 시도는 그 자체로 난임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남녀 모두 35세 이상이 되면 정자와 난자의 기능이 저하되어 임신성공률이 현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건강하고 질 좋은 난자가 착상력이 좋은 자궁내막에 착상이 되는 일련의 과정이 임신인데, 난소가 노화되면서 난자의 질도 떨어지고 자궁내막의 상태도 좋지 않아 임신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통념을 깬 놀라운 수준의 최고령 출산 기록이 우리나라에 있다. 57세의 나이로 쌍둥이를 출산하여 화제를 불러온 주인공이기도 하다. 이미 가임기가 지났고
- 하이미즈 한의원 박영철 원장
- 2020-05-04 1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