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정치

시멘트 성분 17%가 쓰레기, 인분까지…국민 90%가 등급제 도입 요구

국민 75%, 각종 폐기물 시멘트 부연료 및 보조연료 사용 몰라
국민 열 중 아홉이 시멘트 제품 등급제 도입

[자료=노웅래 의원실 제공]
▲ [자료=노웅래 의원실 제공]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국민 대다수가 시멘트에 들어간 폐기물의 성분표시와 등급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설문조사에 압도적인 찬성 의사를 밝혔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환경재단·전국시멘트대책위원회는 이러한 내용의 ‘시멘트 등급제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시멘트 내 폐기물 투입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5%, 2010년 8%, 2015년 13%, 2020년 17%로 증가했다.

 

반면 여론조사에서 시멘트에 산업쓰레기(폐기물)이 들어가는지 아는 응답자는 전체의 4분의 1에 불과했다.

 

시멘트 내 포함된 쓰레기 중에는 중금속도 들어있어 아토피 등 각종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새 집 증후군의 유력한 유발인자가 시멘트로 지목될 정도다.

 

국립환경과학원도 2017년 논문을 통해 폐기물 투입으로 인한 시멘트 제품의 중금속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며, 시멘트 제품의 유해성이 우려되고 있어 인체 및 환경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멘트 제품의 품질관리방법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응답자들은 폐기물이 들어간 시멘트에 대해 다른 제품들과 같이 성분표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이 86.7%로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8.3%)보다 80.1%나 높게 나타났다.

 

폐기물이 들어간 시멘트와 그렇지 않은 시멘트로 구분할 수 있도록 시멘트 등급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이 90.5%에 달했다.

 

노웅래 의원은 “시멘트제품에 막대한 양의 폐기물이 들어가고 심지어 인분까지 들어가고 있는데도 관리 기준조차 없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라며 “국민 10명 중 9명이 폐기물이 투입되는 시멘트에 대한 성분표시제 및 등급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선택권 보장 및 알 권리를 위해서라도 정부는 한시라도 빨리 관련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17~18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로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95% 신뢰수준에 ± 3.1%p로 진행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