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기상청 제공

보험

금감원, 농협생명에 자본적정성 관리 강화 요구

외화자산·파생상품 리스크 관리 미흡도 지적
금감원 검사서 경영 유의 6건·개선 19건 부과받아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최근 금리 급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NH농협생명에 자본 적정성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며 주의를 촉구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농협생명에 대한 종합검사에서 자본 변동성 증가 대응과 해외 투자 관련 리스크 관리 및 내부 통제 강화 등이 필요하다며 경영유의 사항 6건에 개선 사항 19건을 부과했다.

 

금감원은 농협생명이 지난해 지급여력비율(RBC)의 금리 민감도 확대를 예상했음에도 목표 RBC 설정 시 가용자본 중 가장 비중이 큰 매도가능증권의 평가 이익이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을 했는데 실제 RBC는 크게 변동해 내부 관리 지표로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리스크별 한도 초과 대응 계획 수립 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반영하는 등 리스크별 세부 조기경보체계 마련을 요구했다.

 

농협생명은 위기 상황 분석 시 외화자산의 부실에 따른 손상을 반영하지 않고 외화 자산과 파생상품에 대한 환율 변동의 영향을 통합해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영향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외화자산과 파생상품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받았다.

 

또한, 농협생명이 대규모 해외 투자 확대 전략을 안정적으로 관리 및 대응할 환 헤지 전문 인력 및 금융 사고 방지를 위한 전산시스템 등 관련 인프라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점도 주의 요구를 받았다.

 

금감원은 금융 상황 변화에 따라 부실 위험이 예상치 못하게 급증할 우려가 있어 대체투자 심사 업무 과정에서 투자 대상 자산의 유형별 위험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업무 절차를 개선하고, 농업인 안전 보험 등 관련 상품의 운용과 보험금 지급 심사 업무를 불합리하게 한 점도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