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정책

이창용 한은 총재 "연준도 강달러의 세계경제 '스필오버' 효과 주목"

"IMF·WBG 연차총회서 우크라 전쟁 끝나야 인플레 해결 공감…당장 해법 없어"
"통화스와프가 만병통치약 아냐…美 금리기조 바꾸면 원화 빠르게 절상될수도"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미국 당국도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강달러 기조가 세계 다른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필오버'(spillover) 효과를 주목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G) 합동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있는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에서 열린 특파원단과 간담회에서 스필오버가 올해 총회의 주요 논의 주제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여러 미팅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높기 때문에 당분간 물가 안정을 위해 계속 금리를 올리는 추세를 가져가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면서도 동시에 그런 정책이 미치는 여러 스필오버도 유심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영국 연기금 사태서 보듯 스필오버가 달러 외채가 많은 국가, 저소득국뿐 아니라 순채권국 등 예상치 못한 곳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특히 비(非)은행 금융기관의 리스크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관련 국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와 여신전문금융사를 점검했고 아직 문제가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또 연차총회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얼른 끝나야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원인인 에너지와 식량 가격 상승이 해결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면서 "안타깝게도 당장 해법이 보이지 않아 정책을 하는 입장에서는 전쟁이 상당 기간 갈 수도 있다는 게 전제가 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소득국은 식량·에너지 가격 급등과 강달러로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IMF 구제금융을 요청한 나라의 숫자를 보면 당장 어려운 나라를 알 수 있는데 많이 늘었다. 아시아에서는 요청한 나라가 거의 없었는데 지금 많이 준비한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다른 나라에 대한 미국의 배려가 부족한 게 아니냐는 평가에 대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기본적으로 자국 인플레이션과 자국 상황을 우선하는 것으로 미국이 아무리 글로벌 리더라고 하지만 자국 문제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거기서 벗어나라고 요구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다만 "과거 경험이나 달러가 차지하는 위치를 볼 때 (미국도) 해외에 미치는 스필오버와 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다시 미국으로 유입되는) 스필백(spillback)을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주장하는 미국과 통화 스와프에 대해서는 "스와프는 미국 연준이 결정하고, 우리는 글로벌 유동성 상황이 변화할 때 미국이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게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며 "스와프가 우리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인데 만병통치약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갈등으로 글로벌 경제가 파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가 치를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국도 IMF와 세계무역기구(WTO) 등 다자주의 체제에 적극 참여해 파편화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한국도 시장 다변화를 통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산업 구조도 반도체와 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에서 더 다양해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한국에 해외투자자가 많다면서 "환율이 1천100원일 때와 1천400원을 넘을 때의 투자 전략은 달라야 하지 않겠나. 미국이 금리 인상 기조를 바꾸면 원화가 빠르게 절상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말라는 조언"이라고 말했다.

 

지금처럼 환율이 높을 때 달러로 투자했다가 나중에 환율이 낮아지면 자산 가치가 변동하지 않아도 환차손을 볼 수 있는 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그는 앞서 진행된 애덤 포센 PIIE 회장과 대담에서 지난달 외환 당국의 환율 방어가 효과적이었다며 "당국이 보유한 탄환(달러)이 충분한데다 우리가 환율 추세 자체를 뒤바꾸려는 게 아니라 그 속도만 통제하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푸틴(러시아 대통령)과 대화할 수 있는 국가가 있다면 그건 중국일 것"이라며 "우리의 중국 친구들이 러시아의 전쟁을 멈추기 위해 더 노력하고 미국과 대화해 파편화 위험을 줄이기를 바란다"는 기대감을 표출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