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인사 · 동정

법무법인 가온, 골든와이즈닥터스와 ‘슬기로운 의사 생활 돕기’ MOU

가업 자문 독보적 명성의 법무법인 가온, 병・의원 원장 상속・증여・자산승계 본격 지원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가업승계 등 상속・증여・자산승계 자문 분야를 선도해온 법무법인 가온(대표변호사 강남규)이 최근 국내 병・의원 종합자문 1위 컨설팅그룹인 골든와이즈닥터스 주식회사(대표 이사 박기성)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개원의들이 병원 경영 때 겪게 되는 여러 세무 이슈 중에 기장을 위주로 하는 병원전문 세무법인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의료기관 특화 조세소송이나 상속・증여 등 이슈를 빠르고 정확하게 상담, 의사들이 의료활동에 전념토록 하자는 취지로 맺은 협약이다.

 

법무법인 가온은 “지난 6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소재 법인 본부에서 강남규 법무법인 가온 대표변호사 와 박기성 골든와이즈닥터스 대표 등 양사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식을 가졌다”고 8일 본지에 알려왔다.

 

강남규 대표변호사는 이날 협약식에서 “고객 맞춤형 세무 및 법률 컨설팅에 강한 ‘조세 전문 로펌’인 가온이 이번 업무제휴를 통해 병・의원 개원의들에 특화된 상속・증여・자산승계・조세소송 등 세무와 법률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맞춤형 세무관리 플랜을 제공, 병원 세무 법률 전반에 걸친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번 업무협약이 준비돼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업무협약으로 ▲법률・세무 자문 지원 ▲상속・증여・신탁・ 자산승계 설계 ▲해외활동연계 세무 계획(cross-border Tax planning) 등 폭넓은 영역에서 지원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번 협약으로 골든와이즈닥터스의 병원경영 컨설팅 노하우에 가온의 전문성을 더해 성공한 병원 CEO의 다양한 세무 이슈와 맞춤형 자산관리 플랜고민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기성 골든와이즈닥터스 대표는 “단순 회계장부 작성 대행과 세무조정 서비스를 넘어 성공한 병원 최고경영자(CEO)를 위한 중장기 상속과 증여 등 세무 컨설팅, 가족의 자산승계플랜 등의 고급 세무자문 서비스가 필요했는데, 이번 가온과의 업무협약으로 성공한 개원의 고객들에게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2001년 창업이래 병원업계에 가장 취약했던 ‘병원전문 세무법인’을 최초로 만드는데 협업, 병원 전문 기장 세무법인들이 지난 20년간 양과 질 모든 면에서 발전해왔지만, 개원의사의 깊은 고민과 아픈 손가락을 치유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양사는 각 분야에서 쌓아 올린 업무 노하우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원의들에 대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품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골든와이즈닥터스는 가온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상속, 증여, 자산승계플랜 등에 대한 교육, 세미나, 법률상담 부문에서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조세 분야와 가업(family office) 경영자문 분야에서 독보적인 인력과 경험을 보유한 국내 유일 조세 전문 로펌 가온은 지난 2022년 자산관리플랫폼 ‘패밀리오피스 센터’를 출범, 상속과 증여, 신탁, 가업승계 등에 대한 법무·세무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산관리 시장을 선도해가고 있다. 센터는 세무사와 회계사 자격을 갖춘 변호사들을 비롯해 국세청・조세심판원・행정법원 출신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강남규 대표변호사는  “법무법인 가온의 조세그룹은 세무진단부터 세무조사, 세무 자문, 조세소송, 자산관리 플랜 뿐만 아니라, 일반 민・형사 분쟁 등 기존 세무법인들이 제공하기 어려운 통합 법률서비스까지 한몫에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강점이 있다”고 밝혔다.

 

 

강남규 대표변호사(왼쪽)와 박기성 골든와이즈닥터스 대표.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