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시평 134위'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중견 건설사 줄도산 우려

시공능력평가 200위 내 중견 건설사들 부실 본격화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건설업계에서 중견 건설사들의 재정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도급순위 134위인 이화공영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올해 들어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 건설사 중 7번째 사례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화공영은 이사회 결정을 통해 지난 1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 및 회사 재산 보전처분, 포괄금지명령을 신청했다.

 

이에 따라 이화공영의 주권매매 거래는 이날부터 회생절차 개시 결정일까지 정지된다.

 

1956년 설립된 이화공영은 경찰청 기동대 청사, 상명대학교 종합강의동 등 주요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으며, 전라선(신리~순천) 제7공구 노반개량공사 등 토목 및 인프라 사업에도 참여해왔다. 하지만 최근 건설업계 전반의 침체와 금융 비용 증가로 인해 재정난이 가중되면서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됐다.

 

이화공영의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163.44%로 전년 동기 대비 34.82%포인트 증가했으며, 누적 영업손실은 97억 원에 달했다. 급격한 부채 증가와 연이은 적자가 경영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화공영의 법정관리 신청은 건설업계 전반에 걸친 위기 상황을 반영하는 사례 중 하나다. 올해 들어 시공능력평가 200위 내 건설사들이 잇따라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화공영 외에도 ▲신동아건설(시공능력평가순위 58위)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등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업계의 연쇄적인 기업회생 신청 배경에는 금리 인상, 부동산 경기 침체,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규 분양 시장이 위축되면서 중견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고, 기존 사업장에서도 수익성 확보가 쉽지 않아지면서 도산 위기가 커지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