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창업하실 분 혼저 옵서예”… IFS 프랜차이즈 창업·산업 박람회 개막

코엑스 C·D홀 개최,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진행
교육, 상담, 컨설팅, 정보 제공 등 풍성한 볼거리 제공

 

 

(조세금융신문=손영남 기자)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코엑스, RX Korea가 공동 주관하는 ‘2025 상반기 제58회 IFS 프랜차이즈 창업·산업박람회’가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C·D홀에서 국내 최대 규모로 성대하게 개막했다.

 

350여 개 브랜드, 730여 개 부스 규모로 12일까지 3일간 개최되는 이번 박람회는 최근 불황으로 안전한 창업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진 분위기를 보여주듯 맞춤형 상담을 받으려는 참관객들로 전시장이 금세 들어찼다.

 

정현식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은 개막식에서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160조원의 매출과 132만의 고용을 창출하는 주요 국가 산업으로, 비용 인상과 경기침체로 어려운 자영업 생태계를 지탱하고 있다”면서 “국내 최대 규모로 열리는 이번 박람회가 창업 시장을 안정화하고 서민경제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박람회에는 규모에 걸맞게 내로라하는 주요 업종의 우수·유망 브랜드들이 대거 참가해 초저가, 가성비·가심비 등 떠오르는 창업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창업 모델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정보공개서 등록업체만 참가 가능한 ‘창업전’(C홀)에는 ▲자담치킨 ▲가마로강정 ▲당신은치킨이땡긴다 ▲치맥킹 ▲기영이숯불두마리치킨 ▲쥬씨 ▲텐퍼센트커피 ▲더리터24 ▲바나프레소 ▲요거트월드 ▲육미제당 ▲하남돼지집 ▲한마음정육식당 ▲움버거앤윙스 ▲본죽·본도시락 ▲보배반점 ▲오복오봉집 ▲쿠우쿠우블루레일 ▲탐나종합어시장 ▲펀비어킹·빨강다람쥐 ▲인쌩맥주 ▲포케올데이 등 주요 외식 브랜드들과 ▲카카오브이엑스 ▲롯데슈퍼 ▲짱탁구장 ▲세븐스타코인노래방 ▲커브스 ▲리맥스 등 도소매·서비스 브랜드들이 상담 부스를 차렸다.

 

창업 필수 파트너사들을 총망라한 ‘산업전’(D홀)에도 ▲삼성웰스토리(식자재·솔루션) ▲제로아이즈(무인매장) ▲비버웍스(주문·결제) ▲가현세무법인(세무) ▲아르푸가구(인테리어) ▲바로더(로봇) ▲리드플래닛(경영관리) ▲슈가버블(주방세제) 등 주요 필수 파트너사들이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인다. ▲중소기업은행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따뜻한동행 ▲근로복지공단 등 공공기관·비영리단체들도 안전 창업을 위한 필수 정보와 컨설팅을 제공한다.

 

D홀 산업전 내 세미나장에서 각계의 창업 전문가들이 3일간 직접 생생한 노하우를 알려주는 다양한 세미나도 이번 박람회의 주요 볼거리 중 하나다.

 

‘세미나 스테이지 1’에서는 본사·점주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업무를 돕는 프랜차이즈 테크 ▲프랜차이즈 브랜딩 전략에 대한 강연이 이어진다. ‘세미나 스테이지 2’에서는 창업 희망자, 기존 점주들을 위해 ▲2025 프랜차이즈 트렌드 ▲가맹 사업에 꼭 필요한 정보공개서 ▲창업 기본기 다지기에 대한 교육도 진행된다.

 

또 ▲주요 부스별 상세 해설, 질의응답이 진행되는 ‘도슨트 투어’(docent tour) ▲친환경 제품·기술을 모은 ‘ESG 특별관’ ▲전문가 맞춤 상담을 제공하는 ‘창업 컨설팅 존’ ▲가맹본부-파트너사의 1:1 상담을 제공하는 ‘비즈매칭’ ▲참가사 상세 정보가 담긴 온라인 디렉토리 ‘IFS 에브리데이’ (https://www.ifseveryday.co.kr) ▲참관 동선을 최적화한 레드카펫존 등 고유의 프로그램들이 더욱 업그레이드돼 제공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