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은행

여름 나기 통 큰 혜택! 씨티카드 여름 이벤트

 

(조세금융신문) 한국씨티은행(행장 하영구, www.citibank.co.kr)은 7월부터 씨티카드 고객 대상으로 메가 기프트 경품행사, 무이자 할부, 마일리지 추가 적립 등 다양한 혜택들을 제공하는 ‘씨티카드 여름 이벤트’를 진행한다. 

 

또한, 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게 부산 해운대 프라이빗 비치 등 다채로운 이벤트도 만날 수 있다.


올 여름 씨티카드를 300만원 이상 사용하면 추첨을 통해 레이 자동차, LG 김치 냉장고, 네스프레소 등 푸짐한 선물을 받을 뿐 아니라, 2주에 한번씩 삼성 미러리스 미니도 추첨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여름 휴가철을 맞이하여 8월 31일까지 홈페이지 등록 고객 대상 으로 해외에서 70만원 이상 씨티카드 사용 시, 해외사용 금액별 마일리지나 씨티 포인트를 최고 2배 적립해주는 행사를 진행한다.  BC, 기업, 국내전용, 체크 사용분 제외된다.  또한, 부산/제주도 지역 호텔에 대해 특가 행사도 진행한다.


또 8월 31일 까지 홈페이지 등록 고객을 대상으로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 사이에 가능한 30여가지의 무료 메뉴, 맥주, 와인 쿠폰이 발송되며 BBQ 치킨 결제 건에 대해 캐쉬백(프로모션 기간 합산 최대 4천원)이 진행된다. 단 BC, 기업, 체크사용분 제외된다.


이와 더불어 ARS(1544-7770)로 무이자 할부 신청 시, 어디에서나 2~4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즐길 수 있다.


여름 휴가를 부산으로 계획하고 있다면 씨티카드 고객에 한해 부산 해운대 씨티카드 프라이빗 비치를 여유롭게 즐길 수 있다.


씨티카드 3만원 이상 사용 영수증(입장일 포함 3일이내) 제시 시 선착순으로 무료 입장이 가능하며, 이용 고객에게는 파라솔, 선베드, 비치바 무료 이용 및 휴대폰 무료 충전 서비스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아울러 7월 18일~8월 17일까지 부산지역 레스토랑에서도 특별한 할인 혜택을 즐길 수 있다.


한편 씨티 포인트 보유고객(씨티BC, 기업, 체크+신용카드 제외)은 7월 한달 간 ‘화요일의 수퍼 찬스’를 통해 날개없는 선풍기를 포인트몰에서 54%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매주 선착순 30명), 모바일 쿠폰몰에서는 망고식스 생망고빙수 구매 시 아몬드카라멜 허니브레드 이용권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매주 선착순 50명)


이번 행사를 기획 주관한 한국씨티은행 익발 싱(Iqbal Singh) 부행장은 “올해 무더운 여름 알찬 휴가나 더위사냥을 위해 가족, 친구, 연인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대상 카드 및 이벤트 상세 내용은 씨티카드 홈페이지(www.citicard.co.kr)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