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 초보창업자들의 경우 보통 프랜차이즈 창업을 통해 창업을 하는 편을 선택하는게 좋다. 특별한 노하우가 없어도 쉽게 창업할 수 있고, 본사의 여러 가지 지원과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4년 11월 서울 장승배기역 인근에 매장을 오픈한 국수나무 장승배기점 양영애 사장은 음식의 맛에 반해 프랜차이즈 창업을 선택한 경우다. 지인들과 우연히 식사를 할 겸 방문한 곳이 국수나무 매장이었는데 먹어보니 맛이 좋아 결국 창업까지 가게 됐다.
“먹어보니 맛이 괜찮았아요. 같이 간 지인들도 좋다고 하구요. 그래서 국수나무 여러 가맹점을 다녀보기 시작했어요. 정말 다들 맛이 똑같은지, 맛이 있는지 궁금했어요”
당시 거주하던 상도동 일대는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아직 제대로 된 먹자골목이 형성되지 못했다. 동네에 국수나무와 같은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양 사장은 3~4개월 정도 점포를 찾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아는 지인이 33㎡ 크기의 작은 매장을 소개했다. 이제 막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신흥상권의 먹자골목에 위치해 있었지만, 점포가 작아 망설이는 국수나무 가맹본부를 설득하기 시작했다.
“자신이 있었어요. 메뉴 자체가 여성 입맛에 맞아 주부를 비롯해 모두의 입맛을 잡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올해로 거의 2년째를 맞은 장승배기점의 일평균 매출은 79~80만원이다. 10명이 앉으면 꽉차는 홀 크기여서 웨이팅이 걸릴 정도다. 점심엔 직장인이, 그 외의 시간은 청소년과 아이를 데리고 온 주부들이 대부분이다.
“단골이 많아요. 사람 얼굴을 잘 기억해서 친근하게 알아봐주고 관심을 가져주면 모두가 좋아해요.”
그녀의 바람은 국수나무 장승배기점이 국수나무 가맹점 중 최고로 맛있는 매장으로 손꼽히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녀는 처음 오픈했던 초심을 잃지 않으려고 항상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또 다른 바람은 국수나무 매장을 하나 더 오픈하는 것으로, 현재 운영하는 매장보다 조금 더 큰 규모의 매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양 사장은 프랜차이즈 창업을 생각하는 주부들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프랜차이즈를 선택할 때 회사의 비전이 있는지, 메뉴 개발에 신경을 쓰는지, 점주와의 분쟁사례가 얼마나 있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해요”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