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강릉 11.3℃
기상청 제공

세금절감_김정래

[5분특강 시즌2]세금절감⑧연구 및 인력개발 비용 세액공제(2)

 

본 강의는 2019년 1월 30일 기준 세법을 적용하여 촬영하였습니다.

매년  또는 수시로 세법이 변경되어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상담은 강사 또는 세무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스타트업 기업 중 IT 벤처기업 등 연구개발 관련 초기 투자금액 지출이 많은 기업의 경우 해당 규정을 활용하면 연구 및 인력개발을 목적으로 관련 설비에 투자하는 것만으로도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조세특례제한법에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 및 인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액공제 등 여러 특례조항을 두고 잇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지난 시간에 살펴본 연구 및 인력개발비 세액공제와 조세특례제한법 제11조에 규정된 연구 및 인력개발을 위한 설비투자세액공제이다.

 

연구 및 인력개발을 위한 설비투자 세액공제의 적용요건은 다른 조건 없이 법에서 정한 연구개발, 인력개발을 위한 특정 시설을 취득하기만 하면 된다.

 

첫 번째 해당 시설은 연구개발 전담부서 및 법적으로 인정받은 기관에서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취득하는 공구, 사무기기, 통신기기, 계측기기 등에 투자하는 금액이 세액공제 대상이 된다.

 

이 때 연구소 등에서 사용하는 설비라고 하더라도 일반 사무용 집기, 비품 등은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며, 업종별 자산 중 기계장치 등을 시험연구용으로 취득하여 연구소 등에서 연구전담용으로 사용하는 자산은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

 

두 번째 해당 시설은 인력개발을 위한 직업훈련용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이다.

 

세액공제 대상 설비에 투자하고 과세표준 신고와 함께 세액공제 신청서를 제출하면 투자금액의 일반기업 1%, 중견기업 3%, 중소기업 6%에 상당하는 금액을 해당 과세연도 법인세(또는 소득세)에서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또한 투자가 2개 이상의 과세연도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경우 투자가 이루어지는 각 과세연도마다 세액공제 적용이 가능하다.

 

시설 투자시 투자금액에는 중고품에 의한 투자, 기존설비에 대한 보수 및 자본적 지출, 운휴 중인 설비를 제외하며, 금융리스방식에 의하여 취득한 시설을 포함되지만 운용리스 계약에 의한 취득은 제외된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김정래 세무사]

  • (現) 더케이(The K) 세무회계컨설팅 대표세무사

  • (現) 서울시 마을세무사
  • (現) 한국세무사회 전산세무회계자격시험 출제위원
  • (現) 한국세무사회 회계솔루션 개발위원
  • (現) 한국세무사회 홍보상담위원
  • (現) 한국세무사회 지방세제도연구위원
  • (現) 서울지방세무사회 연수교육위원
  •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조세법학과 재학중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보유세 강화를 통한 ‘주택가격 안정화’의 허상
(조세금융신문=홍기용 인천대 명예교수, 전 한국세무학회장) 최근 정부는 “고가의 집을 보유하는 데 부담이 크면 집을 팔 것이고, 유동성이 생길 것”이라며 “재산세를 1% 메긴다고 치면, (집값이) 50억이면 1년에 5000만원씩 (보유세를) 내야”라며, 보유세 강화를 예고하는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부는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때마다 보유세를 강화하는 세금대책을 반복적으로 내놓고 있다. 주택의 소유자들이 높은 보유세로 인하여 매물을 내놓아 주택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 논리를 무시한 ‘세금 만능주의’의 한계이며, 경제 현실을 너무 단순화하고, 지나친 정치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시장경제체제의 국가에서는 주택가격의 안정화 대책은 주택공급이 우선이고, 그 다음으로 규제와 세제를 보조수단으로 거론될 수 있다. 주택공급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지만, 주택가격 안정화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럼에도 단기간 세금정책으로 해결하려는 접근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택가격은 주택공급 이외에 금융, 인구 구조, 심지어 사회적 불안 심리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그동안 똘똘한 한 채 중심의 주택정책으로 인하여, 1세대 1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