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족이 중앙감염병 전문병원 건립 등을 목적으로 내놓은 7천억원을 관리하기 위한 조직이 기부금 납입 4개월 만에 첫 회의를 연다.
국립중앙의료원은 9일 "보건복지부와 함께 기부금관리위원회를 구성할 위원 15명을 선정하는 작업을 마치고 다음 주 첫 회의를 열기 위해 위원들과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올해 4월 28일 이 회장 유족들은 국가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주문하며 중앙의료원에 7천억원을 납입하고, 이 중 5천억원은 '세계 최고의 중앙감염병 전문병원' 건립에 써달라고 당부했다.
애초 중앙의료원과 복지부는 6월 안에 기부금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었지만, 양 기관이 위원회의 인적 구성을 두고 견해차를 보이며 일정이 석 달 가까이 지연됐다.
기부자인 삼성 측이 위원회에 참가하지 않은 가운데 중앙의료원은 신영수 서울의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 등을 위원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복지부는 퇴직 관료를 중심으로 여러 학회에서 추천받은 인사들로 구성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내주 기금위 첫 회의에서 위원 명단을 공개할 예정이지만 위원회가 구성돼도 당장 내년에 감염병병원 설계에 착수할지는 미지수다. 정부가 거액 기부금이 들어오자 기존 사업 계획을 재검토하며 중앙의료원이 요구한 3천737억8천만원 중 1천629억8천만원을 내년 예산에 반영하지 않은 것이다.
이 예산의 대부분이 중앙의료원 이전과 중앙감염병병원 건설 부지 매입 대금이다. 나머지 미반영 금액 중 중앙감염병병원 구축사업 예산은 2억5천만원이며, 이 중 2억4천100만원은 설계비, 900만원은 시설부대비다.
이 때문에 당장 내년 설계 용역 등 사업 추진 일정에 차질이 생겼다. 중앙의료원은 사업비 적정성 재검토 결과 내년 설계비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중앙감염병병원은 일러도 2028년에 준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복지부와 중앙의료원이 목표했던 2026년보다 2년 넘게 늦어지는 것이다.
기부금 5천억원을 이유로 정부 예산이 깎인 것을 두고 정기현 중앙의료원장은 최근 국회 토론회에서 "몇천억 들어왔다고 온갖 이해 관계자들이 불나방처럼 붙고 기재부는 기부금을 자기 돈인 양 검증하겠다고 나선다"며 "하루 빨리 중앙감염병병원을 만들겠다는 것이 공허한 약속이 됐다"고 비판했다.
복지부는 "기부금이 포함되면서 앞서 확정된 총사업비가 변경돼 사업비 규모 타당성을 재검토받아야 하는 상황이지만, 긴급한 경우 재검토를 면제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어 재정당국과 협의를 하고 있다"면서 "감염병병원이 2026년까지 완공되는 데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