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기상청 제공

은행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석달째 감소 전망...가계대출 잔액 705.2조원

증시부진·금리상승에 DSR 규제까지…신용대출 수요 줄어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은 4개월 연속 감소할 듯…역대 최장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5대 국내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례적으로 3개월째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보여 관심이 쏠린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 2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05조2천932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6천441억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연초 이후 대출 감소세가 추세적으로 이어졌음을 고려하면 3월 말까지 4거래일이 남은 점을 고려하더라도 대출 잔액이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3월 가계대출 실적이 마이너스(-)로 확정된다면 5대 은행 가계대출은 이달까지 3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게 된다. 5대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 1월 1조3천634억원 줄어든 데 이어 2월에도 1조7천522억원 감소한 바 있다.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책 여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택 가격 상승세가 꺾이면서 3월 들어서도 주택 관련 대출이 크게 늘지 않은 데다 신용대출 수요 부진이 이어진 게 가계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자료 취합 
▲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자료 취합 

 

3월 들어 24일까지 주택담보대출은 6천33억원, 전세자금대출은 1천757억원 각각 증가했고, 신용대출은 1조293억원 감소했다. 특히 신용대출의 경우 1∼2월엔 상여금 지급이나 연말정산 환급 등 계절적 요인 영향으로 감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3월까지 감소세가 이어지자 은행들도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증시 부진 장기화 및 대출금리 상승으로 투기자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1월부터 강화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제도적 요인으로 신용대출 감소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지난해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규제 도입으로 높여놨던 개인신용대출의 문턱을 최근 들어 낮췄거나 추가로 더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5대 은행의 3월 가계대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전체 은행권 가계대출은 5대 은행 집계치보다 한 달 앞선 작년 12월부터 감소세를 보여왔다.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이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일 경우 이는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3년 10월 이후 역대 최장의 대출 감소세로 기록될 전망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