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서스틴베스트 "올해 정기주총 시즌서 주주 요구 더욱 커질 것"

경영권 분쟁 관련 주주제안 및 동일인의 책임경영 강화 요구 대폭 증가 예상
류호정 파트장 "밸류업 프로그램 통해 기업과 투자자간 소통 강화 추세"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본격적인 국내 기업들의 정기주주총회 시즌 맞아 주주들은 각 기업별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그램)을 고려한 배당 안건을 분석해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7일 국내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는 ‘2025 정기주주총회 시즌 프리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먼저 서스틴베스트는 올해 정기주총 시즌의 주요 키워드로 ▲기업가치 제고 계획과 연계된 주주환원정책 ▲경영권 분쟁 관련 주주제안 ▲동일인(오너) 책임경영 ▲이사회의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등을 꼽았다.

 

서스틴베스트는 올해 열리는 국내 기업들의 정기주총에서도 경영권 분쟁 관련 주주제안이 활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류호정 서스틴베스트 의안분석파트장은 “경영권 분쟁 관련 주주제안 대상 기업 대부분은 ▲창업주 일가 내 갈등이 발생한 경우 ▲기업 거버넌스 투명성 개선이 필요한 기업 ▲최대주주와 2대주주간 지분율 차이가 크지 않은 기업 ▲기업가치가 저평가된 기업 등이 속한다”고 밝혔다.

 

이어 “경영권 분쟁 관련 안건 상정은 이사 선임안, 이사 수 관련 정관 변경안 등 주로 이사회 관련 안건들이 상정된다”면서 “경영권을 둘러싼 표 대결이라는 특수 상황이 포함된 안건분석의 경우 이사 후보 개인의 전문성·적격성·독립성 외에 현 경영진과 경영권 분쟁의 상대측 중 어느 쪽이 주도하는 이사회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장기적 주주가치 증대에 더 적합한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스틴베스트에 의하면 올해 정기주총에서는 기업집단(대기업) 동일인들에 대한 이사 재선임안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류호정 파트장은 “공정거래법상 동일인은 기업집단을 사실상 지배하는 인물”이라면서도 “하지만 타 법률에서 제재 조치 대부분은 이사 등 등기임원을 상대로 취해지고 잇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올해 정기주총부터는 동일인의 이사 선임 안건 중 책임경영 측면에서 분석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서스틴베스트는 이사회의 환경·사회 관련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도 국내 기업 정기주총에서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올해 기업별 정기주총에서는 기후 리스크 관리 관련 가이드라인 공시 여부, 탄소중립 선언 및 계획 수립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류호정 파트장은 “최근 국내 기업 사이에선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기업과 투자자간 소통이 강조되고 있는데다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과 관련해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 요구가 높아지는 분위기”라며 “올해 정기주총 시즌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주주활동이 예상된다. 따라서 투자자 요구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 역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