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보험

지난해 車보험 손해율 개선에도 흑자 낸 손보사 3곳 전망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DB손보만 흑자 기대..."지난해 자동차보험료 인하 여파"


(조세금융신문=박소현 기자) 작년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전년 대비 개선됐음에도 흑자를 낸 손해보험사는 3개사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손해율이란 고객이 납부한 총 보험료 대비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 비율이다. 자동차보험 적정손해율인 7778%보다 높으면 적자, 그보다 낮으면 흑자를 봤음을 의미한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8개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82.6%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87.3%)보다 4.7% 개선된 수치다.

 

모든 손해보험사가 전년보다 손해율이 감소했다. 특히 롯데손해보험은 2016100.8%에서 지난해 86.9%1년 새 13.9% 떨어져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됐다.

 

각 회사별로 살펴보면 메리츠화재(78.2%) 현대해상(79.6%) 삼성화재(80.3%) DB손해보험(80.6%) KB손해보험(80.7%) 등 순으로 손해율이 낮았다.

 

손해율만 보면 이들 5개 손보사는 충분히 자동차보험 흑자를 기대해볼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러나 사업비 비중이 높은 현대해상과 KB손보는 자동차보험에서 이익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난해 자동차보험 흑자가 가능한 보험사는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DB손보 등 3개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메리츠화재가 자동차보험에서 흑자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DB손보도 2008년 이후로 9년 만에 본 자동차보험 흑자다.

 

이처럼 3개 손보사에서 자동차보험 흑자를 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하지만 지난해 상반기 손해율 개선세를 고려하면 오히려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자동차보험에서 흑자를 본 보험사가 11개 손보사 가운데 67개사에 달했다. 외제차량 렌트비 현실화, 경미 손상 수리비 지급기준 신설 등 제도가 개선된 덕분에 보험업계 전반적으로 자동차보험 영업여건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인해 자동차 침수 피해가 늘고, 그해 8월 자동차보험료가 일제히 인하됨에 따라 손해율이 다시 악화세로 돌아섰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보험료인하 효과가 올 상반기까지 이어지는 만큼 자동차보험 손해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