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 지난 8월말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이 717조2천억원을 기록하며 또 다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가게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월부터 8월까지 7개월째 사상 최고기록 경신을 이어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주택담보태출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지난 8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717조2,360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6조2,810억원 늘었다.
특히 월간 증가액은 부동산 취득세 감면 종료를 앞두고 가계대출이 급증한 지난해 6월의 6조5천억원이후 14개월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한은은 "LTV·DTI 규제 완화에 주택금융공사의 금리조정형 적격대출 판매 영향을 받아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위주로 가계대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마이너스 통장이나 예·적금 담보대출 등 기타대출(276조2천억원)은 비은행을 중심으로 1조1천억원 늘었다.
8월중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 5조1천억원, 기타대출이 1조1천억원 늘었다.
취급기관별로는 예금은행에서 5조원 늘었고, 비은행권에서 1조3천억원이 확대됐다.
지역별로로는 LTV·DTI 규제 완화의 영향이 큰 수도권 이 전달의 2조5천억원에서 3조6천억원으로 증가했다. 비수도권은 전달의 3조3천억원에서 2조6천억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된 것으로 집계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