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대기업 인재는 '소통·협력' 갖춰야

대한상의 조사, 1위 소통, 2위 전문성, 3위 원칙 順
5년새 7위서 1위로...업종별 인재상에선 차이 드러나

(조세금융신문=이진아 기자) 국내 100대 기업이 꼽은 인재의 첫 번째 덕목이 ‘소통과 협력’으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10년전 창의성, 5년 전 ‘도전정신’이 첫손가락에 꼽힌 것에 비하면 개인의 능력보다 팀전체의 역량이 성과창출에 주요한 이슈로 떠올랐음을 나타낸다. 

 

2018년 100대 기업 인재상. [그림=대한상공회의소]
▲ 2018년 100대 기업 인재상. [그림=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인재상을 분석한 결과, ‘소통과 협력’을 인재가 갖춰야할 역량으로 꼽은 기업이 63개사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문성’ 56개사, ‘원칙과 신뢰’ 49개사, ‘도전정신’ 48개사, ‘주인의식’ 44개사, ‘창의성’ 43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열정’ 33개사, ‘글로벌역량’ 31개사, ‘실행력’ 22개사 등의 역량은 그 뒤를 이었다.

 

이번 분석은 100대 기업이 홈페이지에 공표한 인재상을 토대로 이뤄졌다. 100대 기업의 구성은 제조업 43개사, 금융보험업 27개사, 무역운수업 8개사, 건설업 7개사, 도소매업 6개사, 기타서비스업 9개사다.

 

[표=대한상공회의소]
▲ [표=대한상공회의소]

올해는 5년 전 동일 조사와 비교해 큰 변화가 나타났다.

 

‘소통과 협력’은 5년 전 7위에서 6계단 오른 1위로, ‘원칙·신뢰’는 5위에서 3위로 올라섰다.

 

반면, 2013년 인재가 갖춰야 할 1위 덕목으로 꼽혔던 ‘도전정신’은 올해 4위로 밀려났다. ‘주인의식’은 2위에서 5위로 떨어졌다.

 

대한상의는 “직원은 상사를 꼰대로 인식하고, 반대로 상사는 직원을 자기 것만 챙기는 ‘요즘 애들’로 치부하는 경향이 심해지는 등 기업 내 소통과정에 심각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며 “최근 기업들이 직원을 채용하거나 육성하는데 있어 소통과 협력을 주요 역량으로 꼽는 이유”라고 말했다.

 

한편, 2008년 조사에서 1위를 기록한 ‘창의성’은 2013년 4위로 떨어진 뒤 올해는 6위까지 떨어졌다. ‘전문성’은 시대 변화에 관계없이 직원이 갖춰야 할 역량으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업종별로 원하는 인재상에는 다소간 차이가 나타났다. 제조업에서는 ‘소통과 협력’을 직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가장 많이 꼽은 반면, 도소매업과 무역‧운수업은 ‘전문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과 건설업의 경우 ‘주인의식’을 갖춘 인재를 선호했다.

 

전인식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많은 기업들이 기업문화를 개선하고 조직역량을 높이려고 노력하지만 성과는 아직 미흡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소통과 협력을 중시하는 분위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전 팀장은 하반기 대기업 공채와 관련 “기업마다 원하는 인재상에 조금씩 차이가 있는 만큼,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의 인재상을 꼼꼼히 파악하고 이에 맞춰 본인의 강점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10일간 진행됐으며, 2008년부터 매 5년마다 실시돼 올해가 3번째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