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보험

특수건물 화재 사망자 한해 477명

화보협회 특수건물 안전점검 보고서 발표…제1원인 '부주의'

(조세금융신문=방영석 기자) 병원, 공장, 아파트 등 특수건물에서 난 불로 작년에만 447명이 숨지거나 다치고 737억여원의 재산피해가 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보험협회는 31일 발간한 '2018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보고서에서 지난해 인명피해가 난 특수건물 화재는 153건으로, 68명이 사망하고 379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특수건물이란 여러 사람이 출입·거주하는 중대형 건물을 말한다. 연면적 3000㎡ 이상인 의료·호텔 등 숙박시설, 2000㎡ 이상의 학원과 다중이용시설, 16층 이상의 공동주택, 11층 이상의 건물 등이 특수건물에 속한다.

 

특수건물은 불이 났을 때 막대한 인명·재산피해 우려가 있어 화재보험법에 따라 매년 협회의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고, 화재보험에도 반드시 가입해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가 발생한 건물은 병원(40명), 공장(15명), 아파트(13명) 순이었다. 사망자 39명, 부상자 151명을 냈던 밀양 세종병원 화재의 영향으로 25명이 숨졌던 2017년에 비해 사망자가 크게 늘었다.

 

재산피해는 737억2000만원으로, 전년도보다 34.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공장 화재가 피해액의 약 83%를 차지했다.

 

발생 건수로는 아파트가 1154건으로 가장 많았다. 공장(719건), 11층 이상 건물(179건)이 뒤를 이었다.

 

특수건물 1000건당 화재 발생 빈도는 평균 56.3건이었다. 아파트(132건), 다중이용시설(108.9건), 판매시설(83.7건), 목욕탕(61.9건)이 평균보다 많았다.

 

불이 난 가장 큰 원인은 부주의(36.9%)가 가장 많았다. 담배꽁초를 무심히 버린다거나 음식물 조리과정에서의 실수 같은 것들이었다.

 

부주의에 이어 과전류·접촉 불량 등 전기적 요인(31.4%), 기계 노후·정비 불량 등 기계적 요인(14.7%)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