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2019년 보세사 880명 합격…합격률 28.2%

(조세금융신문=박가람 기자) 관세청은 ‘2019년 보세사 전형’ 합격자 880명을 13일 발표했다.

 

지난달 6일 실시된 2019년 보세사 전형에는 총 3120명이 응시하고, 880명이 합격해 합격률은 28.2%로 나타났다.

 

합격자 평균 점수는 67.9점이며, 합격자 최고 점수는 88.8점으로 집계됐다. 올해 최고령 합격자는 윤 모 씨(남,64세)이며, 최연소 합격자는 오 모 씨(남,20세)이다.

 

보세사 전형 합격자의 연령별 현황 [자료=관세청]
▲ 보세사 전형 합격자의 연령별 현황 [자료=관세청]

 

전년도보다 합격률이 다소 하락했지만 전체 합격자의 62.9% 이상이 20~30대 청년층으로 구직활동을 위해 화물관리 전문자격증인 보세사자격을 취득하려는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보세사 시험을 주관하는 관세청은 “앞으로도 보세사 제도를 활성화해 통관물류, 화물분야 전문가를 육성하고 대내외적으로 물류경쟁력 제고를 위해 보세사 역할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합격자 명단은 관세청 홈페이지와 (사)한국관세물류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세사 자격증은 이달 21일부터 우편으로 교부할 예정이다. 향후 보세사로 근무하고자 할 때에는 한국관세물류협회 본회 또는 지역협회에 등록해야 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