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셀럽파이브 출신 김영희, 빚투 이후 근황…"연예인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도"

 

(조세금융신문=김효진 기자) 셀럽파이브 출신 개그우먼 김영희의 근황이 공개돼 화제다.

 

김영희는 28일 방송된 채널A '행복한 아침'에 출연해 "지인들이 많이 도와줘서 멘탈을 잡는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녀는 아버지 빚투 논란 당시 내놓았던 해명이 거짓 논란에 휩싸이면서 모든 활동을 중단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그녀가 한 인터뷰에서 아버지가 계시지 않다고 말했던 발언도 거짓 의혹에 휩싸였다.

 

김영희는 이날 방송을 통해 "어머니에게 '아빠는 뭐하는 사람이냐'고 했는데 어머니가 '찾지마. 돌아가셨어'라고 하더라"며 오해가 생긴 이유를 털어놨다.

 

또 "빚투를 겪고 '연예인을 하지 말아야겠다. 이 일을 하지 않고도 돈 벌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는 생각도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그녀는 아버지의 빚투 논란 이후 지난 6월 채무 상환 합의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